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ar Robots/기체/EvoLife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ar Robots/기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작 기업에 대한 내용은 EvoLife 문서
EvoLife번 문단을
EvoLife#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기업별 기체
Faction Robots
기체 팩션
||
[ 펼치기 · 접기 ]

파일:DSC로고.pngDefense and Security Conglomerate
소형기Destrier · Gareth · Jesse
중형기Gl. Patton · Carnage · Galahad · Doc · Bulwark · Blitz · Rayker · Invader U · Behemoth · Nightingale · Shell · Harpy · Siren · Mars
대형기Fury · Rhino · Lancelot · Butch
타이탄Kid · Arthur · Luchador · Rook
파일:스페이스테크.pngSpaceTech
소형기Cossack
중형기Vityaz · Rogatka · Hover · Raven · Ao Qin · Ao Guang · Ao Jun · Hawk · Orochi · Seraph · Nether
대형기Natasha · Griffin
타이탄Ao Ming · Murometz · Aether · Sirius · Newton
파일:이카루스logo.pngIcarus Technologies
소형기Gepard
중형기Kumiho · Haechi · Bulgasari · Nemesis · Hades · Ares U · Phantom · Demeter · Revenant · Skyros · Imugi · Crisis · Ochokochi
대형기Leo
타이탄Minos
파일:에보라이프.pngEvoLife
소형기Bolt
중형기Fujin U · Weyland · Mender U · Fenrir · Tyr · Loki · Leech · Cerberus · Typhon · Fafnir · Erebus · Angler · Dagon
대형기Raijin · Jeager
타이탄Nodens · Heimdall
파일:얀디.pngYan-di Ventures
소형기Stalker
중형기Inquisitor · Strider · Spectre U · Pursuer · Hellburner · Mercury · Falcon · Ravana · Scorpion · Khepri · Lynx · Ophion
대형기-
타이탄Sharanga · Indra
취소선: 출시 예정 기체
U: 얼티밋 에디션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제작 기업
에보라이프
EvoLife
||
파일:EvoLife노덴스.png

1. 개요
2. 기체 분류
2.1. 소형기
2.1.1. Bolt(볼트)
2.2. 중형기
2.2.1. Fujin(푸진/풍신)
2.2.1.1. Ultimate Fujin
2.2.2. Weyland(웨이랜드)
2.2.3. Mender(멘더)
2.2.3.1. Ultimate Mender
2.2.4. Fenrir(펜리르)
2.2.5. Tyr(티르)
2.2.6. Loki(로키)
2.2.7. Leech(리치)
2.2.8. Cerberus(케르베로스/서버로스)
2.2.9. Typhon(티폰)
2.2.10. Fafnir(파프니르)
2.2.10.1. 7.9.0 업데이트 이후
2.2.11. Erebus(에레버스/에레보스)
2.2.12. Angler(앵글러)
2.2.13. Dagon(다곤)
2.3. 대형기
2.3.1. Raijin(라이진/뇌신)
2.3.2. Jaeger(예거)
2.4. 타이탄
2.4.1. Nodens(노덴스)
2.4.2. Heimdall(헤임달)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모바일 게임 War Robots의 등장하는 기체들 중, 가상의 기업 EvoLife 소속 기체를 서술한다.

EvoLife는 생물학 분야와 나노로봇 공학의 으뜸이었으며, 이러한 설정에 기반해서 에보라이프의 기체들은 나노 기술을 기반한 수리 및 서포트 기체가 많다. 비단 나노 기술은 기체의 수리에만 사용되지 않고 록다운, 도트 무장 등의 활용에도 널리 쓰인다. 이 외에 케르베로스, 티폰, 에레버스의 EMP, 리치와 노덴스의 링크 기술도 직접 개발한것이라는 설정.

유일하게 수리 및 서포트를 행하는 타이탄인 공중요새 노덴스와 지상요새 헤임달 모두 에보라이프 소속이다. 노덴스는 압도적으로 자유로운 수리 기능과 서프레션을 통한 후방 지원기, 헤임달은 범위면에선 노덴스보다는 떨어지지만 적재적시에 모드를 바꿔가며 최전선에서 아군의 사기를 북돋는 전방 지원기다. 타이탄들은 각 기업별 타이탄들의 특징이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앞으로도 힐러 타이탄은 에보라이프쪽에서 전담할 것으로 보인다.

[각주]


2. 기체 분류[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기업별 기체
EvoLife Robots
EvoLife 기체
||
[ 펼치기 · 접기 ]

파일:에보라이프.pngEvoLife
소형기Bolt
중형기Fujin U · Weyland · Mender U · Fenrir · Tyr · Loki · Leech · Cerberus · Typhon · Fafnir · Erebus · Angler · Dagon
대형기Raijin · Jeager
타이탄Nodens · Heimdall
취소선: 출시 예정 기체
U: 얼티밋 에디션
DSC 기체 · SpaceTech 기체 · Icarus 기체 · Yan-di 기체






2.1. 소형기[편집]



2.1.1. Bolt(볼트)[편집]


Bolt
볼트
파일:WR볼트.png
"경무장이지만 빠르고 기동성이 좋은 로봇. 내구성이 아주 높지는 않지만 재빨리 점프하여 적 공격을 피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소형기.png

소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Dash(대시해금 레벨4레벨
무기 슬롯경무기x3기체 티어1티어
모듈 슬롯능동x1획득 방법500 골드[상점]
추천 장비3x Shredder / 3x Sting

기체 레벨이동속도체력비용소모시간
15552,600500골드없음
25555,8001만 실버5분
35559,2002만 실버30분
45562,7004만 실버1시간
55566,50020만 실버4시간
65570,50040만 실버8시간
75574,70080만 실버12시간
85579,200150만 실버16시간
95584,000300만 실버20시간
105589,000500만 실버1일
115594,300800만 실버1일 2시간
1255100,0001300만 실버1일 4시간
MK2 155100,000500골드없음
MK2 255101,90025만 실버3시간
MK2 355103,80050만 실버5시간
MK2 455105,700100만 실버8시간
MK2 555107,600375만 실버15시간
MK2 655109,500375만 실버15시간
MK2 755111,400375만 실버15시간
MK2 855113,300375만 실버15시간
MK2 955115,200375만 실버15시간
MK2 1055117,100375만 실버15시간
MK2 1155119,000375만 실버15시간
MK2 1255120,900375만 실버15시간
4.7 업데이트로 출시된 기체다. 가격은 500골드.

게파드와 동일하게 모든 레벨에서 이동속도가 55km로 동일하다. 이속은 게파드보다는 느리지만, 한국기체와 동일한 대쉬 능력을 가지고 있고[1], 게파드보다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는 게파드의 상위호환 기체이다. 대시 쿨타임은 5초고 스택은 1번.
4세대 당시 볼트보다 훨씬 좋은 로봇들이 이미 메타를 점령하고 있었는데 출시된 비운의 로봇. 시대를 잘못 만났다.[2]

주요 무장
운용법이나 무기 세팅은 게파드와 비슷하다. 빠른 이동속도와 대쉬로 상대의 공격을 회피하면서 공격하는 방식.


맷집이 약한 소형기이기 때문에 중상위 티어로 올라가면 쓰기가 힘들어진다.

-한정판 외형-
[상점] 상점 구매[1] 대시스킬 덕분에 사실상 게파드보다 빠르다. 대시 달린 게파드라고 생각하면 된다.[2] 만약 3세대나 그 이전에 이 로봇이 출시됐다면 높은 성능에 싼 가격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을 것이다.[3] 토글식 스킬 제외[4] 물론 애초에 게파드가 250골드로 굉장히 싸기 때문에 2배라 해봤자 겨우 500골드로 실제로는 멸 차이가 없다.



2.2. 중형기[편집]



2.2.1. Fujin(푸진/풍신)[편집]


Fujin
푸진
파일:WR푸진.png
"에너지 방패가 장착된 4족형 감시병. Fujin은 또한 아군에게 엄호 사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영역 탈취 및 제어에 안성맞춤입니다. 디자인 특성 때문에 Ecu는 장착할 수 없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entry Mode(센트리 모드해금 레벨16레벨
무기 슬롯일반무기x3기체 티어2티어
모듈 슬롯수동x1 능동x1획득 방법2,000 골드[상점]
추천 장비3x Tulumbas / 1x Pulsar + 2x Ion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에너지 방패.png
에너지 실드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68,00039km/h76,0002000 골드-
240km/h2만 실버10분
341km/h4만 실버1시간
441km/h8만 실버2시간
542km/h40만 실버8시간
642km/h80만 실버12시간
743km/h160만 실버1일
843km/h300만 실버1일 8시간
944km/h600만 실버1일 16시간
1045km/h1,000만 실버1일 20시간
1146km/h1,600만 실버2일 4시간
1247km/h2,600만 실버2일 12시간
MK2 147km/h
최대 MK2
500 골드-
MK2 250만 실버2시간 30분
MK2 3100만 실버5시간
MK2 4200만 실버10시간
MK2 5750만 실버15시간
MK2 6750만 실버15시간
MK2 7750만 실버15시간
MK2 8750만 실버15시간
MK2 9750만 실버15시간
MK2 10750만 실버15시간
MK2 11750만 실버15시간
MK2 12750만 실버15시간
MK3 1170,62547km/h191,9403 업그레이드 토큰-


War Robots: Fujin & Raijin

Gameplay: Fujin

스킬 - Sentry Mode(센트리 모드
파일:푸진 스킬.png"로봇이 포탑을 들어 올리면 내장된 재생 에너지 방패를 활성합니다. 방패가 활성화된 동안 이동속도가 20% 감소합니다."

스킬 상세
시전시간2초
이속 저하-20%
파일:WR앤실.png Ancile
동적 및 미사일 무기류를 복합적으로 차단하는 에너지 방패. 에너지 무기는 막을 수 없습니다.
방패 내구도76,000 ~ 191,940
방패 재생2,280 ~ 5,760
방패 임계치15,200 ~ 38,388
스킬을 사용하면, 동체의 높이가 조금 상승 하고 에너지 방패를 전개한다. 센트리 모드에선 이동속도가 20% 감소한다.

에너지 방패는 푸진의 주변 일정 반경의 전방위를 보호하는 푸른색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라이진의 물리 방패보단 내구도가 낮은 편이나 지속적인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게임이 길어질수록 불리해지는 라이진과 달리 그러한 단점은 없다. 방패 회복은 방패를 전개한 상태에서만 회복된다.

퍼니셔, 툴럼바스 등의 물리 공격과 폭발 공격은 에너지 방패의 내구도가 떨어지기 전까지 완벽 보호하지만, 타란 등의 에너지 공격은 막을 수 없다.

7.7.7 업데이트로 정지 모드로 전환하면 이동이 불가하던 것이 이속이 20%에서 감소하도록 바뀌었다. 기존의 강제되던 수동적인 플레이에서 좀 더 적극적이고 유동적인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다.

EvoLife 소속 2티어 대형기 기체.
'Fujin'은 일본 민간신앙 풍신뇌신도의 요괴 후우진을 의미한다.[5]

이름 Fujin은 풍신을 일본어 독음대로 표기한 것이다. 영어권에선 푸진이라 부르지만, 한자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에선 그대로 풍신이라 불러도 된다.

비탸즈와 함께 로고에 고정되어있는 게임 대표 기체. 비탸즈는 실루엣으로 나와있어 식별이 힘들지만, 푸진은 로고에 변동없이 9년 동안 떡하니 박혀있어 쉽게 알아챌 수 있다.

카니지처럼 앤실을 자체 내장하고 있다. 이 실드의 용량은 풍신의 내구도보다 높다.[6] 에너지 실드를 전개할 경우 이속이 감소하며, 전개 상태에서만 실드가 충전된다. 실드 전개 속도가 빨라서 빠르게 반응한다면 이동 중 날아오는 유도 미사일을 거의 완벽하게 막아낼 수 있다. 탁 트인 좁은 골목길을 지나가는 도중 날아오는 미사일에 맞춰 방패를 작동시켜 완벽하게 카운터하는 풍신을 보면 간지폭풍과 함께 감사함이 절로 나올 정도. 풍신을 타면 익혀둘 필요가 있는 기본기이다.

빠른 에너지 방패 회복과 준수한 기동력 덕분에 본격적으로 강화된 미사일 무장을 사용하는 실버에서 많이 보이기 시작하며, 팀원과 함께 부대끼며 움직이면 상당한 딜을 막아낼 수 있다. 일반무장을 3개나 가지고 있어서 괜찮은 화력을 낼 수 있지만 내구도가 낮아 최전방 보다는 1.5선에서 서포터하는 게 주된 역할이다. 하지만 고티어로 올라갈 수록 더 강력한 특수능력을 가진 기체들이 있고, 특유의 에너지 무장에 무력화되는 것과 수동성 때문에 작정하고 풀강(기체 + 무기 포함)하는 것이 아니면 언제까지고 계속 쓰기는 힘들다.

종합하자면 압도적인 방패 내구도와 강력한 화력을 갖췄음에도 너무 수동적이라는 점이 발목을 잡아 상위 티어일수록 낮은 채용률을 보이는 기체라고 할 수 있겠다. 만약에 앤실 상시전개에 센트리 모드 사용했을때 재래식 무기에 대한 엔실의 방어력을 높이거나 에너지 무기에 대한 본체 피해 감소 효과를 부여했다면 좀더 유용하게 써먹혔을 것이다.

4.5 업데이트로 상점에서 500만 실버에 판다. 덕분에 저리그에서 득실득실하게 많이 보이게 됐다.

7.7.7 패치로 앤실을 켠 상태에서 느리게 움직일 수 있게 된 패치를 받았다. 대신 가격이 500만 실버에서 2,000골드가 됐다. 성능이 좋아진건 반가워할 일이었으나, 뉴비에게 좋은 가성비 기체였던 것이 높은 가격 책정으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지게 되어 이 점은 비판을 받는다.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궁극의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푸진 라이진 신규.jpg
공식 일러스트
파일:푸진 일러스트.jpg


역대 로고 일러스트
[ 펼치기 · 접기 ]

기본 로고
파일:War Robots 메인.webp
9주년 로고
파일:War Robots 메인 9주년.png
얼티밋 푸진 로고
파일:War Robots 메인 얼티밋.jpg

[상점] 상점 구매[5] 일본어로 읽으면 후우진이지만, 영미권과 국내에선 푸진이라고 보통 읽는다. War Robots 문서에선 익숙한 방식대로 서술하겠다.[6] 무슨 의미가 있나 궁금해할 수 있는데, 마르스나 에레버스 등 현재의 에너지 방패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체들은 방패 내구도가 본체 내구도를 넘지 못한다. 앤실 방패라 현재는 별로 주목받진 못하지만 당시엔 꽤나 파격적인 스펙.



2.2.1.1. Ultimate Fujin[편집]



2.2.2. Weyland(웨이랜드)[편집]


Weyland
웨이랜드
파일:WR웨이랜드.png
"지원형 사족보행 로봇. 지원 모드에서는 주변의 아군을 수리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중무장 슬롯으로 전장에서는 가공할 적이 됩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upport Mode(서포트 모드해금 레벨17레벨
무기 슬롯중무기x2기체 티어3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추천 장비2x Avenger / 2x Chimera

기체 레벨내구성회복량이동 속도비용소모시간
1126,5401,6504010000조각 or 14,000골드
2134,6201,80042100,0002시간
3143,2201,98042200,0005시간
4152,3702,19042400,00014시간
5162,1002,40043200만 실버1일 4시간
6172,4502,64043300만 실버2일 4시간
7183,4602,91044400만 실버2일 18시간
8195,1803,18044800만 실버3일 18시간
9207,6403,510451300만 실버4일 10시간
10220,9003,840452500만 실버4일 20시간
11235,0004,230453500만 실버5일 4시간
12250,0004,650454500만 실버5일 10시간
1250,0004,65045500골드
2254,6004,740451,500,0001일
3259,2004,83045200만 실버2일
4263,8004,92045400만 실버3일
5268,4005,010451600만 실버3일
6273,0005,100451600만 실버3일
7277,6005,190451600만 실버3일
8282,2005,280451600만 실버3일
9286,8005,370451600만 실버3일
10291,4005,460451600만 실버3일
11296,0005,550451600만 실버3일
12300,6005,640451600만 실버3일

보수 스테이션:

웨이랜드는 아무리 큰 피해를 입은 로봇도 살려낼 수 있는 마법 같은 힘을 가진 로봇입니다!

아군의 체력을 책임져주고 비컨도 지켜주는 진정한 의미의 서포터이자 탱커

쭈꾸미

생김새는 라이진과 풍신을 짬뽕시켜놓은것 같지만 중형 기체로 분류되어 있다.

능력 사용 시 자리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주위 아군과 자신의 체력을 지속적으로 채워준다. 쿨타임은 3초의 시간을 가진다. 멘더가 짧은 시간 동안 한번에 체력을 채워준다면 웨이랜드는 스테이션 발동시 지속적으로 아군을 치료해준다. 멘더와는 운영 방식이 다른데, 멘더가 빠른 이동속도로 아군과 함께 돌격하며 회복시킨다면 웨이랜드는 자리를 잡고 지속 회복으로 아군들의 유지력을 향상시켜 거점을 장악하는 좀 더 수동적인 플레이가 요구된다.

그러나 수동성이 발목을 잡기 때문에 상위권은 기동성이 높은 로봇들이 주로 나오므로 따라다니며 지원하는 멘더가 더 유리한 면이 있다. 하지만 비컨점령이 요구되지 않는 데스매치에서는 멘더보다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순간 힐량은 밀리지만 지속적으로 아군을 따라가면서 좋은 위치를 잡으면 멘더보다 더 잘 쓸 수 있다.

보통 후방에서 아군을 지원하지만 필요할 경우 비컨에 말뚝을 박고 버텨야 하는 상황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2엔실로 생존력을 최대한 늘리거나 근접에서 강한 딜량을 내는 글로리, 어벤저, 엠버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딜링보단 힐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에 무기 하나에 엔실 하나를 달기도 한다.[7]

멘더와 동일하게 치유제한이 있다.[8]
여담으로 다른 4족보행 기체인 라이진과 마찬가지로 벽을 기어올라갈 수 있었으나 패치로 불가능해졌다.

6.3 업데이트로 수리 모드에서 수리력이 15% 버프받았다.
특이한 기능이 추가됐는데 수리 모드에서 피해 완화력이 15%가 올라가는데 타이탄처럼 무기에 피해 완화력이 15% 올라간다는거다. 최근에 새로나온 예거에게도 없는 기술이다. 예거에게 줘야할걸 얘한테 준건 아니겠지...

7.9 업데이트에서 리워크 패치를 받을 예정이다.
풍신 리워크때부터 이어오는 시즈모드 개편을 받았다. 라이진도 얼마 안남았다
[워크샵] [7] 데스매치에서는 엔실달고 자리잡고 잠수타는 유저도있다.[8] 피통 최소치가 사라지면서 멘더, 힐묘듈과 함께 간접너프를 당했다.



2.2.3. Mender(멘더)[편집]


Mender
멘더
파일:멘더.png
"치열한 전투에 신속히 참가하여 손상된 아군을 수리할 수 있는 이동형 지원 로봇. 자신에게 가해지는 모든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upport(서포트해금 레벨18레벨
무기 슬롯일반무기x1 경무기x2기체 티어3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추천 장비1x Storm + 2x Gust / 1x Corona + 2x Halo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타이탄 수리.png
수리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79,00043km/h5,3401만 조각-
2km/h10만 실버2시간
3km/h20만 실버5시간
4km/h40만 실버14시간
5km/h200만 실버1일 4시간
6km/h300만 실버2일
7km/h400만 실버2일 18시간
8km/h800만 실버3일 18시간
9km/h1,300만 실버4일 10시간
10km/h2,500만 실버4일 20시간
11km/h3,500만 실버5일 4시간
1256km/h4,500만 실버5일 10시간
MK2 156km/h
최대 MK2
500 골드-
MK2 2100만 실버12시간
MK2 3200만 실버1일
MK2 44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1,600만 실버2일
MK2 61,600만 실버2일
MK2 71,600만 실버2일
MK2 81,600만 실버2일
MK2 91,600만 실버2일
MK2 101,600만 실버2일
MK2 111,600만 실버2일
MK2 121,600만 실버2일
MK3 1196,24556km/h19,2463 업그레이드 토큰-


War Robots MENDER & WEYLAND 🔥 tech OVERVIEW new healing robots in WR

스킬 - Support(서포트
파일:멘더 스킬.png"로봇은 방어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빨라지고, 7개의 펄스로 자신과 능력 범위 이내에 있는 모든 아군을 수리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8초
쿨다운15초
수리5,340 ~ 19,246
이속 증가33%
방어 포인트175 (64% 피해 감소)
유효반경75m
폭발 횟수9회
스킬 활성 시 이속과 방어력이 증가하고 총 9번의 수리 펄스를 발산하여[9] 자신과 반경 75m 내 아군을 치료한다. 멘더의 내구도는 약하지만 스킬의 이속 증가와 방어 포인트 수치가 꽤 높은 편이라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회복할 수 있다.

EvoLife 소속 3티어 중형기 기체.
'Mender'는 영어로 수리공을 의미한다.

4.0.0 버전 업데이트로 웨이랜드와 정식 출시하였다.

최초의 수리 로봇. 출시 당시엔 기체의 내구도를 수리할 방법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수리봇의 등장은 많은 이목을 끌었다.

웨이랜드와 달리 몸집이 작다. 소형기 만큼은 아니지만 웬만한 중형기의 3/2는 되는 작은 체구를 가졌다. 내구는 평균에 조금 안되고 화력도 수리 로봇 답게 고만고만한 편. 이속은 빠르다.

내구도 수리는 무조건 풀피까지 채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한계치가 있다. 피해를 받으면 내구도 회복의 상한점인 회색 체력이 조금씩 축적되어 공격 받으면 받을 수록 한계치가 점점 낮아지기에 무한정 버티는 것은 불가능하다.[10]

같이 나온 수리 기체인 웨이랜드와는 운영 방식이 다른데, 웨이랜드가 자리를 잡고 지속 회복으로 팀원들의 유지력을 향상시켜 거점 장악에 효과적이라면 멘더는 빠른 이동속도로 아군과 함께 돌격하며 지원하는 좀 더 능동적으로 운영하는 기체다.

그래서 포지션상 주로 회복시켜줘야 하는 로봇들은 앞에서 적의 공격을 막아내는 탱커기체들이므로 멘더도 자연스래 최전방에 서게된다. 때문에 무장도 화방, 빙결 로켓 등의 근거리 무장이 가장 좋다.

참고로 수리봇들의 힐량은 따로 표기되지 않고 딜량에 합산 계산되어 나온다. 때문에 공격적으로 운영하지 않아도 실버 벌이에 효과적이다. 단 힐량으로 최고 딜 경신은 불가능하다.

2019년 워로봇 공식 로봇 순위 영상에서 1위로 뽑혔다.

5.0 업데이트로 버프를 먹었다. 이제 스킬을 사용하면 웨이브 당 수리량은 줄었지만 웨이브가 3번에서 4번으로 증가하고 방어력 증가 시간이 4초에서 5초로 증가했다.

6.3 업데이트로 멘더가 크게 버프됐다.
수리 웨이브가 4번에서 7번으로 크게 증가해 수리량이 2배 가까이 늘어났고, 능력으로 인한 이동 속도가 30%나 증가 된다. 피해 감소 버프는 70%로 버프했다고 기재했지만 라이브 서버엔 작용되지 않았다.

7.7.7 업데이트로 드디어 전용 파일럿이 추가되었는데, 능력이 가히 충공깽이다. 과거 디미터 전파인 APPM에게 있었던 회색 피해 복원으로 아군의 회색 체력을 무려 30%나 회복해줄 수 있다. 덕분에 잘 키운 멘더가 팀에 있다면 아무리 맞고 다녀도 살아남기만 하면 가히 체력이 복사가 된다. 힐러기체 원탑인 디미터와 견주거나 아예 압도할 수 있는 엄청난 능력.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궁극의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멘더 신규 1.png
파일:멘더 신규 2.jpg
공식 일러스트

[워크샵] [9] 설명문에는 7번으로 서술되어있지만 실제 인게임에선 9번 발산한다. 힐도 9번 들어온다.[10] 원래 피통이 줄어들더라도 최소치는 유지되었으나 업데이트로 최소치가 사라져 간접너프를 당했다.[미적용] 패치노트 기재 사항. 본 서버엔 적용되지 않았다.



2.2.3.1. Ultimate Mender[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특수 외형
Ultimate Edition
얼티밋 에디션
||



Ultimate Mender
얼티밋 멘더
파일:얼티밋 멘더.png
{{{-1 "궁극의 로봇 버전" "Invader 로봇의 가장 희귀한 변형으로 모든 면에서 원형을 능가합니다. 모든 지휘관이 탐내는 트로피입니다." "이 로봇에 장착된 모든 무기는 파괴할 수 없습니다." "PvE 전투에서 로봇 방어 시스템의 파워가 50% 증가합니다."
"치열한 전투에 신속히 참가하여 손상된 아군을 수리할 수 있는 이동형 지원 로봇. 자신에게 가해지는 모든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DSC로고.png
DSC
기체 능력Self-Support(셀프-서포트해금 레벨-
무기 슬롯일반무기x1 경무기x2기체 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
추천 장비1x Ultimate Igniter + 2x Ultimate Blaze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궁극의 로봇 공개
파일:얼티밋 멘더 신규 1.jpg
파일:얼티밋 멘더 신규 2.webp
파일:얼티밋 멘더 신규 3.webp
9.4.0 버전 배너
파일:WR 9.4.jpg

[각주]


2.2.4. Fenrir(펜리르)[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기체 시리즈
Ragnarok Squad
라그나로크 스쿼드
||
[ 펼치기 · 접기 ]

일반기체Fenrir · Tyr · Loki · Fafnir
타이탄Heimdall




Fenrir
펜리르
파일:펜리르 로봇.png
"모드를 전환하여 기동성이나 전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내구성이 강하고 우수한 방어력을 갖춘 로봇. 디자인 특성 때문에 Ancile을 장착할 수 없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hapeshift(셰이프시프트해금 레벨19레벨
무기 슬롯중무기x1 일반무기x2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특별 상자[암시장]
추천 장비1x Calamity + 2x Scourge / 1x Glory + 2x Storm / 1x Redeemer + 2x Taran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에너지 방패.png
에너지 실드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99,19042km/h31,3601만 조각-
2105,53043km/h33,37010만 실버2시간
3112,27044km/h35,50020만 실버5시간
4119,44045km/h37,77040만 실버14시간
5127,07046km/h40,190200만 실버1일 4시간
6135,19047km/h42,760400만 실버2일 18시간
7143,82048km/h45,490600만 실버4일 18시간
8153,01049km/h48,4001,100만 실버5일 4시간
9162,78050km/h51,490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173,18051km/h54,7803,600만 실버6일
11184,24052km/h58,2805,200만 실버6일 4시간
12196,00053km/h62,000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196,00053km/h
최대 MK2
62,000500 골드-
MK2 2199,60063,100250만 실버12시간
MK2 3203,20064,200500만 실버1일
MK2 4206,80065,300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210,40066,4002,250만 실버2일
MK2 6214,00067,5002,250만 실버2일
MK2 7217,60068,6002,250만 실버2일
MK2 8221,20069,7002,250만 실버2일
MK2 9224,80070,8002,250만 실버2일
MK2 10228,40071,9002,250만 실버2일
MK2 11232,00073,0002,250만 실버2일
MK2 12235,60074,1002,250만 실버2일
MK3 1247,38053km/h77,8053 업그레이드 토큰-


War Robots Overview: Ragnarok Squad [Tyr, Fenrir Loki] (new robots)

스킬 - Shapeshift(셰이프시프트
파일:펜리르 스킬.png"로봇은 두 가지 모드를 전환합니다. 기동성 모드에서 Fenrir는 중간 속도로 이동하고 Aegis 방패로 보호됩니다. 방어 모드에서는 로봇이 느리게 이동하지만 중무장 슬롯과 방어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자신에게 가해지는 모든 피해를 줄입니다."

스킬 상세
전환시간2초
쿨다운1초
파일:펜리르 스킬.png 기동성 모드
활성 무기 슬롯일반무기x2
파일:WR이지스.png Aegis
어떤 유형의 무기도 뚫을 수 없는 특수 에너지 방패.
방패 내구도31,360 ~ 77,805
방패 재생1,284 ~ 3,534
방패 임계치15,000
파일:펜리르 방어 모드.png 방어 모드
활성 무기 슬롯중무기x1 일반무기x2
방어 포인트100 (50% 피해 감소)
기본 모드인 기동성 모드에선 중무기가 비활성되는 대신 이지스 방패가 활성된다. 빠르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할 때 주로 이용하는 모드로, 전투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이 모드 덕분에 펜리르는 탱커임에도 의외의 기동성을 자랑한다.

이 상태의 이지스 방패는 이동 도중 사거리가 닿지 않는 공격을 일부 무효할 수 있다. 내구도는 높은 편이 아니며 재생은 이지스가 비활성된 방어 모드에만 가능하다.

방어 모드에선 이지스가 사라지고 이속이 느려지지만, 중무장이 활성되고 100 방어 포인트를 받는다. 공방 모두 뛰어난 전투 특화 모드다.

EvoLife 소속 4티어 중형기 기체.
'Fenrir'는 북유럽 신화의 신을 삼키는 늑대 펜리르를 의미한다.

5.0 업데이트로 로키, 티르와 함께 출시된 신규 기체 테마 '라그나로크 스쿼드'의 기체다. 라그나로크 테마의 기체들은 Shapeshift 이라는 스킬을 통해 각기 다른 능력을 가진 두 가지 모드를 토글식으로 변형하여 각 전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게끔 실계되어 있다.

불워크, 인베이더 이후 오랜만에 나온 탱커 기체다. 모드를 바꿔가며 운용해야 하는 스킬을 가지고 있어, 어느정도 컨트롤이 필요하고 기동성/화력 중 하나를 포기하며 싸워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뛰어난 기본 성능으로 이를 커버해준다. 기동성 모드에서는 최대 55km/h라는 준수한 속도를 가지고 있고 이지스를 가지고 있어 이동 중 생존력을 높여주고 체력이 바닥났을 때 조금이나마 더 버텨주는 역할을 한다. 방어 모드에서는 높은 화력과 탱킹력을 가지는데, 피해 감소 50%라는, 팔콘에 버금가는 방어력을 가지고 있으며 팔콘과 달리 기본 체력이 매우 높아 실질적인 체력은 인베이더 보다도 높다. 방어력을 달고 있어 힐 효율도 뛰어나다. 덕분에 기체와 모듈, 파일럿까지 최대 강화가 된 종결 펜리르는 상황에 따라서 타이탄 버금가는 탱킹력을 자랑한다.

펜리르는 가성비 기체로 잘 알려져 있긴 하나 성능을 제대로 끌어내려면 투입 자원은 어마어마해진다. 보통 9렙만 넘어도 어느 정도 성능을 보장하지만 펜리르는 말 그대로 최전선에서 버티는 탱커인지라 최소 명사수만 올라가도 MK2를 찍는 것은 거의 필수인 데다, 전용 파일럿도 무조건 베르나데트다. 이 과정에서 상당한 실버와 골드, 시간이 필요하다. 거기에 무기까지 업글해야 하니 상당히 무거운 기체인 셈이다. 그래도 2023년 기준으론 MK2 레벨 펜리르는 자주 팔기 때문에 이전보단 상황이 낫다.

여담으로 이번 라그나로크 테마의 기체들은 움직일 때마다 마치 사람의 움직임처럼 상체가 실룩실룩 움직인다. 상체가 고정되어 움직이는 다른 기체들보다 좀 더 생동감이 있는 편. 특히 모드를 전환할 때 외갑 애니메이션에 공을 많이 들였다. 상체 외갑과 하체부 장갑의 변환 애니메이션이 상당히 정교하고 멋있다.

현존하는 모든 기체 중 가장 오랫동안 메타에 걸쳐 있는 성능 로봇이다. 단단한 방어력, 중일일이라는 강력한 화력, 모드 변환을 통한 상황 대응력, 내구도에 비해 상당한 기동성, 좋은 성능의 전용 파일럿, 너프 걱정 거의 없음, 접근이 쉬운 워크샵 구 기체... 등의 여러 장점이 거쳐 일명 국밥 기체라고 불린다. 이는 9.0 버전 기준으로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2021년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Giftbringer Fenrir가 전 유저에게 무료로 지급됐다.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공식 일러스트
파일:펜리르 일러스트.jpg
라그나로크 스쿼드 일러스트
한정판 외형 공개
Giftbringer Fenrir
파일:펜리르 한정판 1-2.jpg
파일:펜리르 한정판 1-1.png
한정판 외형 공개
Cryptic Fenrir
파일:펜리르 한정판 2.jpg

[워크샵] [암시장]



2.2.5. Tyr(티르)[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기체 시리즈
Ragnarok Squad
라그나로크 스쿼드
||
[ 펼치기 · 접기 ]

일반기체Fenrir · Tyr · Loki · Fafnir
타이탄Heimdall




Tyr
티르
파일:WR티르.png
"빠르게 이동하면서 주위의 아군을 수리하거나 강화된 보호와 화력을 바탕으로 공격을 주도할 수 있는 균형 잡힌 로봇."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hapeshift(셰이프시프트해금 레벨19레벨
무기 슬롯일반무기x2 경무기x2기체 티어3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추천 장비2x Pulsar + 2x Marquess / 2x Scourge + 2x Spark

기체 레벨내구도물리방패힐량[11]펄스 힐량이동속도비용시간
11040007800039882303614000 골드-
21110008300043790503810만 실버2시간
31180008800048199503920만 실버5시간
412500094000529109404040만 실버14시간
51330001000005821203041200만 실버1일 4시간
61420001060006401323043400만 실버2일 18시간
71510001130007051455044600만 실버4일 6시간
816100012000077516000451100만 실버5일 4시간
91710001280008521760046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18200013600093719360463600만 실버6일 4시간
11194000145000103221300465200만 실버6일 12시간
12206000154000113523430467000만 실버6일 20시간
MK 120600015400011352343046500 골드즉시
MK 220980015680011532386046250만 실버1일
MK 321360015960011892429046500만 실버2일
MK 4217400162400120724720461000만 실버3일
MK 5221200165200122525150462250만 실버4일
MK 6225000168000124325580462250만 실버4일
MK 7228800170800124326010462250만 실버4일
MK 8232600173600126126440462250만 실버4일
MK 9236400176400127926870462250만 실버4일
MK 10240200179200129727300462250만 실버4일
MK 11244000182000131527730462250만 실버4일
MK 12247800184800133328160462250만 실버4일

5.0 업데이트로 나온 라그나로크 테마의 기체다. Shapeshift라는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시간은 무한, 쿨타임은 1초다.

기본 모드인 Support Mode에서는 경무장과 방패가 비활성화되며 이동속도가 15% 증가하고 웨이랜드처럼 주위의 아군을 지속적으로 회복시키는 오라가 생긴다.[12] Assault Mode에서는 이동속도 버프와 힐이 사라지며 경무장이 활성화되고 전면에 물리방패가 전개된다. [13]

운용법은 라이노와 멘더를 섞어놓은 것과 비슷하다. 적과 교전할 때는 Assault Mode 상태로 공격을 버티며 높은 화력으로 공격하고 평소에는 힐과 이속 버프를 켠 채로 돌아다니는 식으로 사용한다. 자신 뿐 아니라 아군도 힐이 가능하므로 아군들과 함께 다니면 도움이 된다. 단, 멘더처럼 한번에 체력을 채워주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지속 힐을 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적과 교전 시에도 힐로 버티면서 싸우기는 어렵다. 방패도 물리이기 때문에 폭발 및 실탄 무장에 약하며 전면부에만 있어 다수와의 교전은 힘든 편.

평가는 애매하다. 지원 모드에서 이동하면서 힐을 할 수 있는 것은 좋지만 힐 영역이 엄청나게 좁고(실전에서는 꽤 크다)힐량이 의외로 적어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공격 모드의 경우 겨우 경무장 두 개가 추가되는데다 물리방패라서 폭발 무장에 약하다는 약점이 있지만 넓은 힐링 구역과 높은 체력, 빠른 스피드, 무난한 화력을 갖고 있어 1.5~2선에서 서포터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로 표기 힐량은 초당 힐량이 아니라 0.33초당 힐량이다.

현재 스킬 쿨타임이 없음→5초로 바뀌고 힐 모드로 바꿀 때마다 자신과 아군의 체력을 20000 회복해주는 펄스를 발산한 후 회복 장판을 생성하도록 조정되었다.[14] 펄스 범위는 회복 장판 범위와 동일. 입지가 상당히 늘어났다 특히, 타이탄의 등장으로 입지는 더더욱 늘어났다.

그리고 mk2까지 잘키운 티르는 공격모드에서 지원모드로 바꾸는 식으로 가면 빙결무기의 공격에도 쉽게 죽지 않는다. 이래 보여도 펜리르보다 hp가 더 많다. 평소에 아서랑 같이 다닌다면 라임과 크라이오 무장으로 가자. 뒤에서 빙결로 디버프를 넣어주고 지원모드로 hp 채워준다면 우리 팀 아서도 쉽게 죽진 않는다. 물론 시그룬 전설 파일럿은 필수다.
6.3 업데이트로 힐량이 20% 버프됐다. 한정판 티르도 나온거 보면 픽소닉이 나름 신경을 써주고 있는듯 하다.
드론으로 인해 요즘 디버프가 활개치고 있어서 안티컨트롤 하나는 장착하고 사용하는것도 좋다.
체력도 나쁘지 않고 회복이 있어서 쉽게 죽지않기 때문에 모듈 칸에 안티컨트롤을 하나 달아놔도 큰 차이가 없다.
무엇보다 디버프로 인해 받는 손해가 많기 때문에 종결 스펙이거나 완전히 공격에 올인해놓지 않은 이상 안티컨트롤을 달아놔서 락다운이나 억압같은 디버프에 걸리지 않도록 하자.
최근 잠수함 패치로 나이팅게일이나 레이커의 압박효과를 내장 실드로 막을 수 있다. 블리츠, 인베이더는 못 막는다. 그리고 실드가 깨져도 당연히 못 막는다.

여담으로 원래 티르는 외팔이 신인데 이 녀석은 그냥 멀쩡하다. 디자인을 신경 안 쓴 것으로 보인다.
[워크샵] [11] 표기 힐량은 초당 힐량이 아니라 0.33초당 힐량이다.[12] 때문에 하-중티어에서 이녀석만 보면 다 붙어다닌다. 유일하게 전쟁의 신이란 모티브를 잘 살린것 같다.(?)[13] 물리방패 내구도는 9강 기준 12만[14] 펄스의 힐량이 힐모드의 힐이랑 비교가 안된다. 타이탄을 끌고 갈때는 계속 모드를 바꿔 힐을 해주는것이 효율적이다.



2.2.6. Loki(로키)[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기체 시리즈
Ragnarok Squad
라그나로크 스쿼드
||
[ 펼치기 · 접기 ]

일반기체Fenrir · Tyr · Loki · Fafnir
타이탄Heimdall




Loki
로키
파일:WR로키.png
"화력을 희생하여 스텔스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 반대로 전환할 수 있는 로봇."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hapeshift(셰이프시프트해금 레벨19레벨
무기 슬롯경무기x3기체 티어3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추천 장비3x Blaze / 2x Gust + 1x Halo / 3x Shredder

기체 레벨내구성이동속도비용소모시간
176,4004010000조각 or 14,000골드
281,00042100,0002시간
385,90043200,0005시간
491,10044400,00014시간
596,60045200만 실버1일 4시간
6102,40046400만 실버2일 18시간
7108,50048600만 실버4일 6시간
8115,000491100만 실버5일 4시간
9121,90050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129,200503600만 실버6일 4시간
11137,000505200만 실버6일 12시간
12145,200507000만 실버6일 20시간
MK2 1145,20050500골드
MK2 2147,90050250만 실버1일
MK2 3150,60050500만 실버2일
MK2 4153,300501000만 실버3일
MK2 5156,000502250만 실버4일
MK2 6158,700502250만 실버4일
MK2 7161,400502250만 실버4일
MK2 8164,100502250만 실버4일
MK2 9166,800502250만 실버4일
MK2 10169,500502250만 실버4일
MK2 11172,200502250만 실버4일
MK2 12174,900502250만 실버4일

5.0 업데이트로 추가된 라그나로크 테마의 기체. Shapeshift라는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쿨타임은 5초다.

스킬을 사용하면 스텔스 상태에 들어가며 이동속도가 증가하고 무장을 사용할 수 없다. 특이한 점은 스텔스가 무한으로 지속된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상대 비컨에서 죽치고 앉아있거나 타이밍을 보고 스텔스를 풀어 상대를 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격불가 상태이다보니 이를 이용해 트롤링을 하는 유저도 있다. 스텔스 중에는 이동속도가 워낙 빠르다보니 언덕을 넘어갈 땐 거의 점프하듯이 지나간다.

현 메타 기준 최고의 비컨 점령용 기체중 하나로 게임내 가장 빠른 이동속도와 무한 스텔스가 주는 매우 높은 생존력으로 운용하는 기체다.

생상대 비컨을 먹고 그 자리에 눌러앉아버리면 상대는 다시 빼앗기도 힘들고 퀀텀 없이는 상대가 불가능해 어찌할 줄 모르게 된다. 그렇다고 로키를 내버려두자니 다른 비컨으로 달려가서 똑같은 짓을 하기 때문에 매우 귀찮은 존재가 된다. 거기에 몸집이 작아 상대가 허공에 쏘는 탄이 잘 맞지 않는 장점도 있다.

무장으로는 지속딜보단 폭딜유형이 좋다. 거스트나 헤일로, 에피드, 라임이 주로 쓰인다. 피나타는 성능이 참 애매하다. 그래도 뭐 골드가 없다면야...

퀀텀이 없다면 무조건 선공권을 가지기 때문에 상대에게 밀착한 다음 거스트와 헤일로로 암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드 변경 시간이 꽤 길어 스텔스를 풀고 바로 공격은 불가능하며 모드 변경에 쿨타임이 5초라서 바로 처치를 못하거나 상대가 여럿이라면 살아남기 힘들다. 장거리 맵에서는 상대 본진에 달려가서 저격수를 잡아버리기도 한다(...)

챔피언 리그 기준 대부분의 로키는 라스트 스탠드 + 안티컨트롤은 기본으로 넣으며, 파일럿 스킬은 난폭 운전자와 옹고집 난폭 운전자, 그리고 메카닉을 넣는다. 또한 활성 모듈은 퀀텀에 대비하기 위해 페이스 쉬프트를 넣는다.

FFA에서는 퍼슈어와는 달리 스텔스 상태에선 공격을 할 수 없어서 쓰기 까다롭기 때문이다. 스텔스를 풀고 근거리에서 공격을 하자니 로키는 체력이 높은편도 아니고 스텔스 풀리는 모션, 쿨타 5초때문에 화력좋은기체잘못 만나다가 개박살난다. 하지만 그나마 무한 스텔스로 만만한 적에게 접근해서 헤일로와 같은 무기로 순식간에 박살내는 전략은 가능하다. 또는 킬딸하고 튀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는 팬텀에게 자리를 빼앗겨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15] 정확히 말하자면, 리치와 팬텀 모두 키가 작아서 스텔스 상태의 로키를 퀀텀 없이 쥐어팰 수 있으며, 특히 팬텀은 스킬이 켜지면 속도면으로 로키에게 전혀 끓리지 않아 아예 쫓아다니면서 로키의 비컨 점령을 방해하며 두들겨대는 게 문제다.[16]
전설 파일럿의 등장으로 메카닉도 쓰지 않아도 되며 스텔스를 계속 유지하면서 조금씩 공격할 수 있지만 쿨타임 때문에 전투에는 조금 끼어들 수 있는 정도가 되었다.

본인을 노리는 적이 쉘, 아서 등 넉백 스킬을 보유한 적을 만났다면 무조건 우회하는 게 좋다. 크기도 작고 가벼운 로키는 스킬에 노출되는 순간 몇 백 미터를 날아갈 것이다.

암살자로서의 성능은 사실상 사장된거나 다름없다. 스텔스 상태라도 기체의 모습은 당연히 보이고 무기를 전개하는 속도도 너무 느리다. 다만 무한 스텔스라는 굉장히 독특한 능력 덕분에 비컨전 요주의 기체로 간주된다. 보통 와스프나 디아이 드론에 점프 유닛이나 힐 유닛, 혹은 페이즈 쉬프트를 달고 다니는데 상술한 두 드론의 공격 데미지가 꽤나 따갑기 때문에 굳이 스텔스를 풀지 않고 콩알탄을 박아넣을 수가 있고, 적군에 퀀텀이 없다면 판을 아예 터뜨릴 수가 있다. 퀀텀이 없으니 죽일 순 없고, 그렇다고 쟤를 가만히 두자니 내 비컨이 전부 먹히는 굉장히 짜증나는 상황이 일어나기 때문. 허나 적군에 퀀텀을 장비하는 기체가 있다면 죽을듯이 로키를 쫓아갈 것이며, 바로 사출되거나 라스트 스탠드 실피만큼 남을 것이다. 게다가 최근에 추가된 타이탄 베타무기인 신더와 루차도르 타이탄의 추가로 스텔스 기체 박살내기 딱 좋은 타이탄 조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로키를 운영할때 주의해야 할 부분.
[워크샵] [15] 챔피언 리그 기준으로, 마스터 이하에서는 종종 나온다.[16] 그래서인지 스커지,스파크 조합의 팬텀이 잘보이지 않는다.



2.2.7. Leech(리치)[편집]


Leech
리치
파일:리치 로봇.png
"강력한 화력을 갖춘 최첨단 로봇. 언뜻 보기에 Leech는 약해 보일 수도 있지만, EvoLife 엔지니어가 설계한 독특한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적으로부터 받은 피해를 흡수하여 적에게 돌려보냅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Repulse(리펄스해금 레벨20레벨
무기 슬롯일반무기x4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추천 장비4x Hussar / 4x Igniter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내구도.png
레벨
파일:WR 레벨.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65,80045km/h1만 조각-
2km/h10만 실버2시간
3km/h20만 실버5시간
4km/h40만 실버14시간
5km/h200만 실버1일 4시간
6km/h400만 실버2일 18시간
7km/h600만 실버4일 18시간
8km/h1,100만 실버5일 4시간
9km/h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km/h3,600만 실버6일
11km/h5,200만 실버6일 4시간
1255km/h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55km/h
최대 MK2
500 골드-
MK2 2250만 실버12시간
MK2 3500만 실버1일
MK2 4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2,250만 실버2일
MK2 62,250만 실버2일
MK2 72,250만 실버2일
MK2 82,250만 실버2일
MK2 92,250만 실버2일
MK2 102,250만 실버2일
MK2 112,250만 실버2일
MK2 122,250만 실버2일
MK3 155km/h3 업그레이드 토큰-


NEW ROBOTS Leech | War Robots Overview

스킬 - Repulse(리펄스
파일:리치 스킬.png"Leech는 방어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피해의 대부분을 흡수합니다. 시야의 적이 있는 경우, Leech는 적과 연결하고, 적으로부터 받은 피해의 일부를 적에게 돌려보냅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9초
쿨다운18초
유효거리500m
방어 포인트900 (90% 피해 감소)
피해 반사35%
스킬을 활성하면 보라색 에너지 입자가 리치의 주위를 감돈다. 해당 상태에선 9초 동안 방어 포인트가 무려 900이나 상승하여, 피해를 90% 차단한다. 의외로 굉장한게 아직까지 이러한 높은 피해 차단 수치를 보여주는 것은 포스필드의 초기 피해 차단과 동일하여, 포스필드가 받은 피해에 따라 피해 차단율이 낮아지는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파격적인 능력.[17] 물론 방어 포인트 기반 능력이라 일부 능력이나 무장, 타이탄의 공격에 파훼된다는 점이 치명적이다.

단순 방어 강화 능력 외에 적군과 연결하는 링크 기술이 존재한다. 500m 사거리 내의 적군을 조준하여 스킬을 재활성하면 해당 적군과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리치 본인이 피해를 받으면 받은 피해의 35% 상대방에게 전가한다. 최초의 피해 전가 능력이다. 이 연결은 거리와 상관 없이 스킬이 끝나기 전까지는 영구적이다.

연결 도중 적군이 파괴되면 방어 상태는 유지되고, 남은 지속 시간 내에 다른 적군을 조준하여 스킬을 재활성할 수 있다.

해당 링크 기술은 이후에도 다른 기체들에게 널리 쓰인다. 같은 기업의 노덴스는 아군과 연결하여 높은 수치의 수리 보너스를 제공, 해당 기술을 훔쳐왔다고 언급되는 Yan-di의 케프리는 아군과 연결해 여러 버프를, 인드라는 적군과 연결해 이속 둔화 및 내구도 비례 데미지, 자가 수리를 한다.

EvoLife 소속 4티어 중형기 기체.
'Leech'는 환형동물 거머리를 의미한다.

5.4.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스펙터 이후로 나온 두 번째 4일반무장 기체. 내구도는 낮은 편이나 강력한 화력과 평균 이상의 이속, 스킬을 이용한 높은 방어력을 통해 공격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이 기체의 진가는 스킬인 리펄스로 일단 발동한다면 9초 동안 반무적 상태로 돌아다닐 수 있다. 데미지 반사라는 특징 때문에 일대일 상황에서 상대는 9초동안 리치를 건드리지도 못하고 두들겨 맞아야 하며, 반격을 한다고 해도 데미지가 10%만 박히고 피해량의 3분의 1 정도를 돌려받게 된다.

이동 속도는 기본이 최대 55km로 나름 괜찮은 편인데 전설 파일럿을 끼면 능력 사용 시 이속 증가 +30%, T4 난폭 운전자 만렙(+11.7%)을 활용하면 장착하면 최대 총합 +41.7%으로, 최대 약 77km/h까지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방어 포인트에 기반한 능력이라는 점 때문에 리치 이후 대거 추가된 여러 방어 완화 능력들의 존재, 포스필드와 리플렉터로 대표되는 특수 방어 능력의 추가로 매우 빠르게 빛을 바랬다. 본래 난전 상황에서 기습적인 피해 반사로 날뛰었다는 것도 피해 반사를 막을 방법이 없어서 그랬던 거지 모듈, 드론, 모선 등의 보조 유닛과 화려해진 기체와 무장 능력들이 날뛰는 현 메타에서 리치가 설 자리는 없다. 뭐 그래도 4일반무장과 높은 방어력은 여전하니 타이탄이 나오지 않는 게임 초반부에 잠깐 꺼내거나 타이탄들을 피하면서 중거리 견제 위주로 굴린다면 준수한 성능을 낼 것이다.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5.4.0 버전 배너
파일:WR 5.4.0 배너.jpg
공식 일러스트
파일:리치 일러스트.png
한정판 외형 공개
Frozen Leech
파일:리치 한정판 1.png
5.8.0 버전 배너
파일:WR 5.8.0 배너.jpg
한정판 외형 공개
Scarab Leech
파일:리치 한정판 2.png

[워크샵] [17] 방어 성능 만으로 이를 넘는 것은 스키로스로, 피해 차단 수치는 85%로 5% 낮지만 구체 모드에서 전환하기 전까지는 영구적으로 방어력이 유지되는 데다 전용 파일럿을 사용하면 방어 완화를 무시할 수도 있다.



2.2.8. Cerberus(케르베로스/서버로스)[편집]


Cerberus
케르베로스
파일:케르베로스 로봇.jpg
"2019년에 War Robots 커뮤니티와 함께 만든 로봇."

"일시적으로 적을 무력화할 수 있는 빠른 공격 로봇. 고유의 내장 에너지 대포와 "Aegis" 에너지 방패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Blackout(블랙아웃해금 레벨15레벨
무기 슬롯중무기x1 일반무기x2기체 티어3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추천 장비1x Redeemer + 2x Taran / 1x Calamity + 2x Scourge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에너지 방패.png
에너지 실드
파일:WR 능력 대미지.png
능력 대미지
파일:WR 지속 피해.png
지속 피해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63,20046km/h16,0001,2801,024/초1만 조각-
267,00048km/h17,0001,5271,221/초10만 실버2시간
371,00049km/h18,0001,7741,420/초20만 실버5시간
475,30051km/h19,0002,0211,619/초40만 실버14시간
579,80052km/h20,0002,2681,818/초200만 실버1일 4시간
684,60054km/h21,0002,5152,017/초300만 실버2일
789,70055km/h22,0002,7622,216/초400만 실버2일 18시간
895,10057km/h23,0003,0092,415/초800만 실버3일 18시간
9100,80058km/h24,0003,2562,614/초1,300만 실버4일 10시간
10106,80059km/h26,0003,5032,813/초2,500만 실버4일 20시간
11113,20060km/h28,0003,7503,012/초3,500만 실버5일 4시간
12120,00061km/h30,0004,0003,200/초4,500만 실버5일 10시간
MK2 1120,00061km/h
최대 MK2
30,0004,0003,200/초500 골드-
MK2 2122,00031,0364,0803,264/초100만 실버12시간
MK2 3124,00032,0724,1603,328/초200만 실버1일
MK2 4126,00033,1084,2403,392/초4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128,00034,1444,3203,456/초1,600만 실버2일
MK2 6130,00035,1804,4003,520/초1,600만 실버2일
MK2 7132,00036,2164,4803,584/초1,600만 실버2일
MK2 8134,00037,2524,5603,648/초1,600만 실버2일
MK2 9136,00038,2884,6403,712/초1,600만 실버2일
MK2 10138,00039,3244,7203,776/초1,600만 실버2일
MK2 11140,00040,3604,8003,840/초1,600만 실버2일
MK2 12144,00041,4004,8803,904/초1,600만 실버2일
MK3 1151,20061km/h43,4705,1244,100/초3 업그레이드 토큰-


Community Robots CERBERUS 🐶 War Robot Overview

스킬 - Blackout(블랙아웃
파일:케르베로스 스킬.png"Cerberus는 3 에너지로 목표를 타격하여 피해를 가하고 적 로봇의 하부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5초
쿨다운9초
파일:WR이지스.png Aegis
어떠한 무기 유형에도 관통되지 않는 특수한 에너지 방패.
방패 내구도16,000 ~ 43,470
방패 재생
방패 임계치
파일:WR 내장형 무기.png 내장형 무기
피해1,280 ~ 5,124
사정거리350m
탄창 용량3발
파일:WR록다운.png Lock-Down
적이 이동할 수 없도록 만듭니다.
파일:WR 서프레션.png Suppression
적이 주는 피해를 감소시킵니다. (50%)
파일:WR 지속 피해.png DoT
적의 외갑에 지속 피해를 입힙니다.
지속 피해1,024/초 ~ 4,100/초
스킬을 사용하면 우측부의 기본 설계된 미사일 발사대에서 각기 다른 능력이 담긴 에너지 미사일을 3발 날린다. 스킬 쿨타임이 10초로 상당히 빠른 편.

내장 무기의 사거리는 350m로, 케르베로스의 빈약한 스펙에 비해 너무나 짧은 사거리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내구성을 커버하기 위해 중거리에 위치를 잡으면 내장무기 활용 빈도가 급속도로 떨어지며, 근거리에 위치잡으면 상대방의 안티 컨트롤에 디버프가 막히는건 고사하고, 설령 디버프 부여에 성공했다고 한들 지속시간 5초는 성공적으로 도망치지 못한 종잇장 같은 케르베로를 찢어버리기까지 충분히 버틸 수 있는 시간이다.[18]

소량의 내구도를 가진 이지스가 존재한다. 방패 내구도는 본체 내구도의 약 25% 정도. 매우 약하지만 실드 리젠률은 빠른 편이며 최소 임계치도 낮은 편이다.

EvoLife 소속 3티어 중형기 기체.
'Cerberus'는 그리스 신화 지옥을 수호하는 파수견 케르베로스를 의미한다.[19]

Bolt 이후로 출시되는 두번째 커뮤니티 봇. 유저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출시 초기 당시부터 성능은 고만고만한 수준이었다. 아예 출시 초창기부터 버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을 정도.

이동 속도와 화력은 준수한 편이나, 기본 내구도와 이지스 방패의 수치가 꽤 낮은 편이다. 그래서 상술하였듯 스킬은 근거리 난투를 위한 설계인데 본체는 중거리 전투가 선호되는 모순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 방패 기체이기 때문에 수동 모듈 'Fortifier'를 장착하면 방패의 내구도가 크게 증가하여 전투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예전에야 서프레션, 록다운, 도트까지 하나 가지고 있기도 힘든 디버프들을 한 기체가 몽땅 갖고 있으니 나름 차별점을 가지고 운용이 가능했겠지만, 드론의 출시로 능력이 하나도 없는 기체마저 디버프 부여가 쉬워진데다 상위호환인 티폰과 에레버스가 이미 전장에 날뛰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그들의 선조격인데 인지도 하나 존재하지 않는 비운의 기체.

여담으로 케르베로스라는 이름 치고는 전혀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는 투박하고 동글동글한 외형이 특징이다. 모티브가 모티브라 3에 대한 연관성은 찾아보면 많은 편이나,[20] 판타지에 자주 사용되는 인지도 높은 케르베로스를 생각하면 특이한 부분이다.

-추천 무기-
스킬은 근거리 선호, 기체는 중거리 선호라는 이상한 조합때문에 애먹을 수 있지만, 그래도 생존성이 우선이므로 중거리 위주의 플레이를 하자. 설령 중거리에서만 싸운다고 해도 자신에게 돌진해오는 적 기체에게 디버프를 먹이는 등 스킬 사용처가 아예 없어지는 것도 아니니 작은 손해를 감수하고 안전성을 우선시 하는 게 중요하다.

-전용 파일럿-

-한정판 외형-

-장점-
-단점-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케르베로스 신규 1.jpg
파일:케르베로스 신규 2.jpg
공식 일러스트
파일:케르베로스 일러.jpg
5.8.0 버전 배너
파일:WR 5.8.0 배너.jpg
한정판 외형 공개
Stellar Cerberus
파일:케르베로스 한정.png
파일:케르베로스 한정 1.jpg파일:케르베로스 한정 2.jpg
9.0.0 버전 배너
파일:WR 9.0.png

[워크샵] [18] 내장무기의 짧은 사거리는 전용 파일럿을 통해 극복할 수는 있다.[19] 케르베로스는 괴물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식인데, 티폰 또한 케르베로스의 후계기로 출시되었다.[20] 무기 슬롯 3개, 내장무기 탄 3개, 기체 전면부 3개의 조명 등.



2.2.9. Typhon(티폰)[편집]


Typhon
티폰
파일:티폰 로봇.png
"적을 일시적으로 무력화할 수 있는 빠른 공격 로봇. 독특한 내장형 에너지 대포와 개선된 Aegis 에너지 방패를 장착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Blackout V2.0(블랙아웃 V2.0해금 레벨21레벨
무기 슬롯일반무기x4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특별 상자[암시장]
추천 장비4x Atomizer / 4x Wasp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에너지 방패.png
에너지 실드
파일:WR 능력 대미지.png
능력 대미지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79,20043km/h22,0001,3201만 조각-
245km/h10만 실버2시간
346km/h20만 실버5시간
448km/h40만 실버14시간
549km/h200만 실버1일 4시간
651km/h400만 실버2일 18시간
752km/h600만 실버4일 18시간
854km/h1,100만 실버5일 4시간
955km/h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56km/h3,600만 실버6일
1157km/h5,200만 실버6일 4시간
1258km/h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58km/h
최대 MK2
500 골드-
MK2 2250만 실버12시간
MK2 3500만 실버1일
MK2 4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2,250만 실버2일
MK2 62,250만 실버2일
MK2 72,250만 실버2일
MK2 82,250만 실버2일
MK2 92,250만 실버2일
MK2 102,250만 실버2일
MK2 112,250만 실버2일
MK2 122,250만 실버2일
MK3 1189,00058km/h54,1803 업그레이드 토큰-


War Robots TYPHON, The Disruptor ⚡ NEW ROBOT Overview

스킬 - Blackout V2.0(블랙아웃 V2.0
파일:티폰 스킬.png"Typhon이 적의 로봇 하부시스템에 피해를 입히고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세 가지 에너지 전하를 목표에 발사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5초
쿨다운14초
파일:WR이지스.png Aegis
특별한 에너지 방패로 어떠한 무기라도 대적할 수 있습니다. 개선된 버전은 모양은 보다 유선 형태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방패 내구도22,000 ~ 54,180
방패 재생1,452 ~ 3,576
방패 임계치4,400 ~ 10,836
파일:WR 내장형 무기.png 내장형 무기
피해1,320 ~
사정거리500m
탄창 용량3발
파일:WR록다운.png Lock-down
적이 이동할 수 없도록 만듭니다.
파일:WR 서프레션.png Suppression
적이 주는 피해를 감소시킵니다. (50%)
파일:WR EMP.png EMP
적의 능력 및 활성 모듈의 활성화를 차단합니다.
스킬을 사용하면 기체 상부에 접혀져있던 에너지포 3문에서 각기 다른 능력을 보유한 에너지를 발사한다.[21]

각기의 에너지탄은 EMP, 서프레션, 록다운 효과를 부여한다. 사거리는 500m이며, 내장무기의 탄속은 빠른 편이나 탄속이 존재해서 씹힐 확률이 존재한다. 200m 내 근거리라면 웬만하면 적중하기 쉽지만 최대 사거리까지 가면 명중은 힘든 편이다.

EMP는 모든 스킬과 활성 모듈의 사용을 5초간 차단하는 신규 디버프이다. 라바나, 호크 등 스킬 의존성이 매우 큰 기체들에게 아주 위협적인 능력이다.

이지스 방패는 다른 것들과 차별되는 개선형이다. 실드 폭이 좁고 범위 피해까지 막아낸다.[22] 그래서 기존의 이지스 방패 기체들의 파훼법인 27m 안으로 침투하는 전술이 불가능하다. 정확히는 가능은 하지만 워낙 범위가 좁아 초근접에서 비비다가 보면 어쩌다 한 두 발 맞출 수 있는거지 유효한 행동은 아니다.

그나마 실드 내구도는 낮은 편이라 깡화력으로 그냥 녹이기 쉬우나, 실드 리젠 속도가 은근히 빠른 편이어서 어중간한 화력이라거나 사거리가 잘 안맞아서 피해를 별로 입히지 못한다면 하루종일 방패만 까먹다가 사출당할 수 있다.

EvoLife 소속 4티어 중형기 기체.
'Typhon'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태초신의 자식이자 강대한 힘을 가지고 있는 거신 티폰을 의미한다.

6.7.0 버전 업데이트로 정식 출시하였다.
최초로 적의 스킬을 봉쇄하는 디버퍼/딜러. 케르베로스를 생각하면 쉽지만 케르베로스는 저항 능력을 약화시키는 느낌이라면, 이쪽은 아예 대응 능력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둔다.

내구도는 낮은 편으로 개선형 이지스 방패를 포함해도 자칫하면 꽤 쉽게 녹는 편이다. 대신 화력은 일반 무기 4개로 상당한 편. 따라서 티폰에게 근거리 무장은 일부를 제외하면 부적합하다.

앞서 서술한 것처럼 스킬의 유무가 성능에 큰 영향을 끼지는 기체들에게 치명적인 카운터를 가지고 있어 그만큼 상당히 짜증나고 강한 기체라는 점을 증명한다. 스킬이 아무리 유리대포여도 6.7.0 업데이트 이후로 큰 비난을 받고 있는 결정적인 이유가 바로 저 EMP 능력 때문이다.

한때 아예 활성화된 적의 스킬을 강제로 중지시키는 전용 파일럿이 출시될거란 찌라시가 있었으나 픽소닉 관계자가 'fake'라고 일축해 거짓으로 드러났다.

특이하게 티폰은 출시 이래로 그 어떠한 패치를 받은 적 없으면서 항상 상위권 픽률의 구석에 위치해있는 기체다.[23] 이에 비견되는 기체는 펜리르 정도인데, 펜리르는 소폭의 여러 버프 너프를 겪어왔으며 Wolff 파일럿의 유무가 큰 기체인데다 세팅이 중요한 탱커라 기체 레벨, 무기, 모듈, 드론 전부 신경써야 한다. 티폰은 무기와 모듈 정도를 제외하면 업그레이드 말곤 세팅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게 별로 없는 편이다. 이는 의외로 질긴 생존성에 특유의 높은 화력, 준수한 이속, 7.8.0 버전 이후로 많아진 고성능의 중원거리 무장의 추가[24] 등이 이유로 보인다.

반대로 원래 티폰의 존재 의의였던 내장무기는 오히려 사용처가 줄고 있다. 8.8.8 버전 기준 메타에서 티폰처럼 방어력이 낮은 기체가 500m 사거리에 들어오면 생존에 적신호가 들어오기 쉽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의 내장 무기는 자신을 물러오는 세라프 등의 기체에게 저항할 때 주로 쓰인다. 그래도 나쁜건 아닌게 최근엔 모듈은 앰플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자연스래 안컨의 수요가 줄어 최소한 EMP는 확실하게 먹일 확률이 높다.

여담으로 케르베로스는 티폰의 자식인데 여기선 케르베로스의 후계기 격이 티폰이다.

-추천 무장-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티폰 신규.jpg
6.7.0 버전 배너
파일:WR 6.7.0.jpg
공식 일러스트
파일:티폰 일러스트.jpg
한정판 외형 공개
Warrior Typhon
파일:티폰 한정판.png
6.8.0 버전 배너
파일:WR 6.8.0.png
기타 일러스트
파일:예거 티폰.jpg

[워크샵] [암시장] [21] 위의 기체 사진에서 동체 위쪽에 올라와있는 작은 총들이 그것이다.[22] 일반적인 에너지 방패는 키드의 스토브나 아서의 블래스트 웨이브 등의 범위 피해는 막지 못한다.[23] 픽률이 높지는 않지만 수요가 꽤 존재한다는 의미다.[24] Razdor, Hazard, Yeoje 등.



2.2.10. Fafnir(파프니르)[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기체 시리즈
Ragnarok Squad
라그나로크 스쿼드
||
[ 펼치기 · 접기 ]

일반기체Fenrir · Tyr · Loki · Fafnir
타이탄Heimdall




Fafnir
파프니르
파일:파프닐.png
"하늘을 나는 드래곤에서 착안한 EvoLife의 이 로봇은 Shapeshifter와 마찬가지로 지상과 공중의 두 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Fafnir는 공중에서 원하는 시간만큼 머물 수 있으며 타이탄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기본 장착 무기가 활성화되고, 지상에서는 강력한 힘을 방어력으로 전환합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hapeshift(셰이프시프트해금 레벨20레벨
무기 슬롯일반무기x4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특별 상자[암시장]
추천 장비4x Skadi / 4x Cryo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기체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78,34030km/h1만 조각-
283,35031km/h10만 실버2시간
388,67032km/h20만 실버5시간
494,33034km/h40만 실버14시간
5100,36035km/h200만 실버1일 4시간
6106,77037km/h400만 실버2일 18시간
7113,59038km/h600만 실버4일 18시간
8120,84040km/h1,100만 실버5일 4시간
9128,56043km/h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136,77044km/h3,600만 실버6일
11145,51045km/h5,200만 실버6일 4시간
12154,80046km/h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154,80046km/h
최대 MK2
500 골드-
MK2 2157,890250만 실버12시간
MK2 3162,540500만 실버1일
MK2 4165,630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168,7302,250만 실버2일
MK2 6171,8202,250만 실버2일
MK2 7176,4702,250만 실버2일
MK2 8178,0202,250만 실버2일
MK2 9179,5602,250만 실버2일
MK2 10182,6602,250만 실버2일
MK2 11184,2102,250만 실버2일
MK2 12185,7602,250만 실버2일
MK3 1195,04846km/h3 업그레이드 토큰-


Fafnir, The Runic Dragon 🐲 | New Robot Overview - War Robots

스킬 - Shapeshift(셰이프시프트
파일:WR 비행.png"로봇이 지상과 공중 모드로 자유롭게 전환하여 원하는 만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상에서는 방어력이 증가하고 4개의 무기 슬롯을 갖습니다. 공중에서는 로봇의 무기 슬롯 2개가 비활성화되고, 타이탄에게 증가된 피해를 입히는 기본 장착 무기를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또한 날아다니는 수초 간 Absorber 방패가 활성화됩니다."

스킬 상세
쿨다운20초
파일:WR 파프니르 지상 모드.png 지상 모드
활성 무기 슬롯일반무기x4
방어 포인트100
파일:WR 비행.png 공중 모드
활성 무기 슬롯일반무기x2 내장형 무기x1
파일:WR업소버.png Absorber
무제한의 피해를 흡수할 수 있는 관통불가 방패.
지속시간5초
피해 증폭률
파일:WR 내장형 무기.png 내장형 무기
사거리350m
피해
기본 피해100%
대타이탄 피해150%
지상 모드에선 일반무장 4개의 강력한 화력과 영구적인 방어 포인트 100을 패시브로 가진다. 공중 모드가 존재 의의인 파프니르이긴 하지만, 지상 모드에서도 상당히 범접하기 힘든 스펙을 가지고 있다.

공중 모드로 전환 시, 즉시 5초간 지속되는 업소버를 전개하고 내장 무기를 활성화하지만, 활성 무기 슬롯이 기체 양 옆의 일반무장 2개로 변경되며 방어력 버프는 제거된다.

비행 시간 자체는 무한이나, 수동 조작으로 기체를 착륙시키면 2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가진다. 내장무기의 강화된 공격력은 수동조작으로 땅에 내려올 때까지 유지되며, 당연히 다음 비행때는 내장무기의 공격력이 초기화된다.

내장 무기의 피해량은 업소버 실드가 데미지를 흡수한 만큼 피해량이 증가하며 한계치는 없다. 기체의 중심부에서 발사하는 탄환은 무한탄창류 무기와 비슷한 회색빛 에너지 탄환을 연속 발사하는데, 직선의 정확한 궤도로 매우 빠르게 적을 타격하며 착륙 전까지 무한정 발사된다.

EvoLife 소속 4티어 중형기 기체.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의 사악한 드래곤 '파프니르'다.

7.1.0 버전에 추가된 기체. EvoLife 기업 로봇 중 최초의 비행 로봇이자 라그나로크 시리즈 추가 기체로, 기체 시리즈 편성 당시엔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타이탄 병종의 추가를 제외하면 처음으로 한 시리즈 테마에 기체가 새로 추가된 경우이다.

일반무장 4개의 화력과 높은 방어력의 지상모드, 스킬 사용 시 2개의 무장 슬롯을 비활성화하고 위협적인 내장무기를 전개하는 비행모드까지 다용도의 기능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다.

범용성이 상당한 기체로, 방어력과 화력이 상당히 높은 축이라 근접 전투든 중원거리 지원이든 모두 해낼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하지만 탱커만큼 단단하진 않아 펜리르처럼 죽치고 탱킹만 하기엔 애매하고, 내장 무기의 사거리가 350m로 설정되어 있어 스킬을 쓰려면 굉장히 가까이 붙어야 하기에 운용 난이도도 높은 편이다.

주로 운용법은 뚜벅거리며 전선으로 간 뒤 자기에게 화력이 집중될 것 같은 타이밍에 비행, 업소버로 최대한 딜을 흡수한 후 일반무장×2 + 강화된 내장무기의 딜 + 무한 비행으로 적들을 쓸어버리는 전술이 쓰인다.

타이탄에게 더 높은 데미지를 주는 내장무기는 호크처럼 대타이탄을 위해 특수하게 제작되었다. 그러나 파프니르 스스로는 마땅한 방어수단이 없고 내장무기 사거리가 짧아서 호크처럼 일반적으로 타이탄을 상대로 프리딜을 넣긴 어렵고, 그렇다고 지상에서 무기로 딜을 하자니 타이탄 무기들로 인해 방어력은 무시되며, 공중에서는 잠깐 전개되는 업소버를 제외하고는 타이탄 입장에선 어떠한 방어체계도 작동하지 않으니 굉장히 스펙이 높아야 무난하게 대타이탄 기체로 운용이 가능해진다.

결론적으로 타이탄과 일반 기체 모두에게 위협적인 피해를 가하는 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비행 후 방어 수단이 따로 없을 시 사용 난이도가 높다는 단점도 명확하다고 볼 수 있다. 본인의 파프니르 스펙이 덜 완성되어있다면, 업소버 끝나고 바로 사출되어도 할 말이 없다.

그러므로 파프니르의 성능을 끌어내려면, 갖가지 드론, 파일럿 스킬, 모듈, 기체와 무기의 강화 어느정도 갖춰진 일명 준종결 스펙이 필요하다. 즉 스펙에 있어서 중간 타협점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어 제대로 사용하려면 자본이 굉장히 많이 깨지는 기체다.

모든 판테온 기체들은[25] 내장무기 데미지에 제약[26]이 걸려있으나, 파프니르는 제한이 없어서 하위권 구간의 저스펙 파프니르도 업소버 한번 잘 맞아서 적들을 학살하는 기체가 될 수 있다. 다만 티어를 좀 올리면 적들이 트롤이나 바보가 아닌 이상 업소버를 공격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대놓고 앞에서 나 때려주십쇼 하는건 무리수. 이럴 땐 일점사 당하는 아군 곁에 다가가 아군 구해주는겸 업소버를 전개하거나, 키스텐 불라바같은 강력한 단발 공격이 날라오는 타이밍에 비행하는 방법이 좋다.

이렇게 출시 당시 파프니르의 사기적인 성능 덕분에 평소에 저평가받기도 하던 사이클론, 카타클리즘 무기의 평가가 높아지게 되었다. 편하게 파프니르를 잡아낼 락온 무기는 이만한게 없기 때문.

성능도 성능이지만 무한 비행이고 속도가 빠르다는 점 때문에 기체 운용 자체가 굉장히 재밌었다. 사설게임을 만들어서 혼자 날아다니며 맵 탐방하는것도 꿀잼

특이하게도 파프니르의 상체 회전 속도가 다른 로봇들에 비해 체감될 정도로 느린 편이다. 다른 기체들은 거의 에임을 따라가지만 파프니르는 타이탄 급으로 느리기 때문에 화면 회전을 동체가 못 따라온다. 컨트롤이 좋다면 기체의 앞면을 볼 수도 있다.

9.0.0 버전 9주년 업데이트를 맞이하여 15일간 지급하는 기념일 선물에서 1일차 선물로 모든 유저에게 지급되었다.

-추천 무기-
주로 근거리나 중거리로 4무장을 통일시키지만, 여러 전투 상황에 대한 다양한 대처를 위해 2중거리 무기 + 2근거리 무기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럴땐 공중모드에선 비활성화되는 상부의 슬롯 2개의 근거리 무장을, 좌우에 중거리 무장을 장착시킨다.

근거리
중거리

-전용 파일럿-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파프니르 신규.jpg
7.1.0 버전 배너
공식 일러스트
파일:파프니르 일러.jpg
한정판 외형 공개
Freedom Fafnir
파일:파프니르 한정판1.jpg
7.2.0 버전 배너
파일:WR 7.2.jpg
7.3.0 버전 배너
파일:WR 7.3.jpg
한정판 외형 공개
Corrupted Fafnir
파일:파프니르 한정판2.jpg
7.5.0 버전 전투 대기 배너
파일:WR 7.5 대기.jpg

[워크샵] [암시장] [25] 아레스, 하데스, 네메시스[26] 최대 100% 데미지 증가[27] 피해 증폭율 절반 감소로 변경.



2.2.10.1. 7.9.0 업데이트 이후[편집]

파프니르는 과거의 메타를 평정하던 아오 준, 아레스, 호크보다 훨씬 더 뛰어나고 매력적인 기체였다. 당시 메타를 삼분하던 세 기체[28] 중에서도 가장 높은 픽률을 자랑했다. 일단 기본적으로 외형이 상당히 멋지며, 일반 모드에선 일반 무장 4개라는 강력한 화력과 자체 패시브로 방포 100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는 안전성에, 하늘을 거닐게 되면 5초 간 모든 데미지를 전부 강력한 내장무기로 바꿔버리는 업소버 기능과 굉장히 신속한 비행속도 등 재미와 성능 두마리의 토끼를 잡았으니, 출시하고 나서부터 지금까지 챔피언 픽률에서 1위를 지켜오던 War Robots의 대표 기체였다.

7.9.0 밸런스 패치 업데이트에서 여러모로 너프가 되었다. 많은 이들이 파프니르의 사기성을 보고 너프 당할 것은 이미 예상하는 바 였지만... 그 너프 사안이라는 것이 매우 극악하다. 따라서 해당 패치 업데이트 후의 파프니르는 당장 다른 기체라고 봐도 된다.

-업데이트 로그-

많은 유저들이 역대 최대이자 최악의 너프라고 비난하고 있다. 가장 나쁜 너프 사안은 업소버 흡수 데미지의 감소가 아닌, 비행 속도의 너프. 파프니르는 8.3 버전 기준 그 비행 속도를 따라올 기체는 두번째 전용 파일럿을 태운 세라프의 스킬 정도다. 그러나 세라프는 전용 파일럿은 태워야 저런 속도가 나온다는 것이고, 지속시간이 8초인 반면, 파프니르는 기본적으로 저 100km/h에 달하는 속도가 나오며, 이 속도를 내려오기 전까지 무한으로 유지를 하니 문제였던 기체다. 어느정도냐면, 타이탄이나 일반기체를 향해 대놓고 머리 위를 넘나들며 조준하지도 못하게 농락하는것이 가능할 정도로 압도적으로 빠른 기체였다. 그렇다보니 너프를 한다고 하면 비행 속도에도 손을 대는게 맞다고 볼 순 있다. 그러나 현재 속도로는 왠만한 비행 기체는 물론이고 겨우 아오 밍에나 견줄 정도로 느려 터진 이속을 받게 되었다. 이게 상당히 심한 것이, 너프 전에는 왠만한 타이탄 무기로는 견제가 어려워서 락온형 무장인 카타사클을 써야 견제가 가능할만큼 빨랐지만, 지금은 거리만 된다면 근거리 무장 그롬 스퀄로 찢어버릴 수 있을 정도로 느려터진 공중 풍선이 되어버린 상태다. 특히나 파프니르가 인기가 많은 이유가 성능도 성능이지만 굉장히 빠른 비행속도가 상당수 재미를 보장하였기 때문. 업소버 너프사항만 봐도 꽤나 뼈 아픈 사안이기에 메타가 바뀔 만도 한데 지나치게 제지를 받은 셈. 그야말로 날개가 잘리고 배에 펀치를 맞은 격이다.게다가 3월 기준으로 제안에 노골적으로 스카디 파프니르를 38,000원에 주고 팔고 있으니 호구들 등골이나 좀 빼먹겠다는 제작사의 노골적인 악의가 덧보인다.

본래 업소버 흡수율에 제약을 걸어 정말로 바보가 될 뻔했지만, 증가율이 낮아지는 대신 제약이 없는건 똑같기 때문에 업소버를 정말 잘 받으면 과거의 학살을 할 수 있긴 하다.
[28] 오로치, 레버넌트, 파프니르[29] 피해량 증폭율 절반 감소로 변경.



2.2.11. Erebus(에레버스/에레보스)[편집]


Erebus
에레버스
파일:에레버스.png
"중장거리 전투를 위해 제작된 중무장 로봇. 상당한 내구도의 Aegis 방패를 갖추었으며, 유도 미사일을 통해 적을 일시적으로 무력화할 수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Homing Blackout(호밍 블랙아웃해금 레벨20레벨
무기 슬롯중무기x3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특별 상자[암시장]
추천 장비3x Prisma / 3x Gauss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에너지 방패.png
에너지 실드
파일:WR 능력 대미지.png
능력 대미지
파일:WR 지속 피해.png
지속 피해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70,84036km/h53,000400
최대 MK1
815/초1만 조각-
237km/h56,00010만 실버2시간
338km/h60,00020만 실버5시간
439km/h64,00040만 실버14시간
540km/h68,000200만 실버1일 4시간
641km/h72,000400만 실버2일 18시간
7102,73042km/h77,0001,436/초600만 실버4일 18시간
8109,29043km/h82,0001,578/초1,100만 실버5일 4시간
944km/h87,000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45km/h93,0003,600만 실버6일
1146km/h99,0005,200만 실버6일 4시간
12140,00047km/h105,0002,300/초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140,00047km/h
최대 MK2
105,000400
최대 MK2
2,300/초500 골드-
MK2 2142,800111,0002,369/초250만 실버12시간
MK2 3147,000113,0002,440/초500만 실버1일
MK2 4149,800115,0002,513/초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152,600117,0002,250만 실버2일
MK2 6155,400119,0002,250만 실버2일
MK2 7159,600121,0002,250만 실버2일
MK2 8161,000123,0002,250만 실버2일
MK2 9162,400125,0002,250만 실버2일
MK2 10165,200128,0002,250만 실버2일
MK2 11166,600131,0002,250만 실버2일
MK2 12168,000134,0002,250만 실버2일
MK3 1176,40047km/h136,5004003 업그레이드 토큰-


Erebus | New Robot Overview - War Robots

스킬 - Homing Blackout(호밍 블랙아웃
파일:에레버스 스킬.png"Erebus가 자동으로 적을 추적하는 네 개의 유도 로켓을 발사하여 피해를 입히고 일시적으로 적 로봇의 시스템을 무력화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5초
쿨다운14초
파일:WR이지스.png Aegis
어떠한 무기 유형에도 관통되지 않는 특수한 에너지 방패.
방패 내구도53,000 ~ 136,500
방패 재생1,908 ~ 4,914
방패 임계치10,600 ~ 27,300
파일:WR 내장형 무기.png 내장형 무기
피해400
사정거리800m
탄창 용량4발
파일:WR록다운.png Lock-down
적이 이동할 수 없도록 만듭니다.
파일:WR 서프레션.png Suppression
적이 주는 피해를 감소시킵니다. (50%)
파일:WR 지속 피해.png DoT
적의 외갑에 지속 피해를 입힙니다.
지속 피해815/초 ~
파일:WR EMP.png EMP
적의 능력 및 활성 모듈의 활성화를 차단합니다.
스킬을 사용하면 후면부의 기본 설계된 미사일 발사대에서 각기 다른 능력이 담긴 에너지 유도 미사일을 날린다.

사거리가 상당한 편으로, 같은 능력의 케르베로스는 350m, 티폰은 500m인데 반해 에레버스는 무려 800m나 되는 장거리를 자랑한다. 게다가 유도성이 있다보니 일직선 궤도인 케르베로스와 티폰의 것보다 타겟 명중률이 훨씬 높다. 가지런히 탄을 발사하는 케르베로스와 티폰과 다르게 에레버스는 4발의 탄이 제각기 다른 궤적으로 따로 움직이는데, 위로 솟구쳐서 물결 모양의 궤도를 그리다가 타겟팅한 적군의 위까지 날아가다가 그대로 아래로 내다꽂는다.

이런 능력의 내장무기가 다 그렇듯 벽에 부딪히면 얄짤없이 사라지므로 유도 능력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적중시킬 수 있는 최적의 각도를 생각해야 한다.

주의할 점으로 대상에게 미사일을 발사하기 직전까지 대략 1초가 걸리는데 이때 화면을 다른 곳으로 돌려버리면 타겟팅이 풀리거나 다른 유저로 향하게 되는데, 이러면 미사일이 애먼 대상에게 날아가거나 허공으로 날아갈 수도 있으니 발사 모션을 끝까지 지켜보는것이 좋다. 락온 대상이 바뀌지 않는 선에서는 화면을 조금 돌려서 탄의 궤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사 팁이 있다. 디버프 미사일을 발사할 때 전방의 벽과 거리가 조금 있다면 처음엔 일직선으로 발사되는 탄이 벽에 씹힐 수 있는데, 좀더 벽에 가까이 다가가서 발사하면 벽에 부딪히지 않고 바로 위로 솟구치기 때문에 온전하게 명중시킬 수 있다. 물론 너무 가까우면 전부 씹힌다.

유도 능력이 매우 뛰어나서 한번 타겟팅한 대상은 스텔스 상태에 들어가지 않는 한 직격을 피하지 못한다. 스콜피온이나 하피 사이렌같은 트랜스로케이터를 사용하는 기체의 순간이동까지 따라갈 정도.[30]

이지스 방패의 내구력은 Mk.3 기준, 본체 내구도의 약 75% 정도이며[31], 실드폭은 생각보다 넓어서 눈먼 탄이나 스쳐가는 탄에도 실드 체력이 까여버리니 주의. 실드폭이 케르베로스 만큼 넓다보니 근거리 무장의 사용은 기피된다.

EvoLife 소속 4티어 중형기 기체.
'Erebus'는 그리스 신화 태초의 신 '에레보스'을 의미한다.

7.4 버전에 프리즈마와 함께 추가된 기체.
티폰과 켈베로스처럼 록다운, 서프레션 등 여러 디버프를 거는 블랙아웃 미사일을 발사하는 스킬을 가지고 있다. 켈베로스, 티폰은 중거리 포지션인 반면 에레보스는 퓨리와 동등한 중무장 3개의 화력을 가지는 저격수 포지션이다.

화력이 상당히 강한 기체로서, 먼저 디버프 탄을 직격시켜 저항을 못하게 만들고[32] 600m 이상의 장거리 무장으로 편하게 지져버릴 수 있다.

EMP 탄의 존재로 포지션에 따라 하피, 사이렌과 천적 관계를 오가는데, 하피 사이렌이 양리 전파를 태우고 사거리 내에 돌입한다면 에레버스 입장에선 그냥 사출당해야 한다. 그러나 반대로 사거리가 충분하여 상대 하피 사이렌이 날 노릴 수 있는 거리가 아니고, 공중에 뜬 상태라면 대략 하피 사이렌이 공중에 2~3초 포지션을 유지할 즈음에 디버프 탄을 날려주면 EMP가 적용되어 본래 자리로 귀환을 할 수가 없게 된다. 만약 쌍둥이 파일럿이라면 어떻게 못하지만, 양리 파일럿일 경우 리플렉터가 꺼지면 방어 수단이 없으므로 지상에 천천히 착지하는 하피 사이렌을 일방적으로 털어먹을 수 있다.

중거리에서 프리딜 환경이라는 가정하에 그 어떤 기체보다 상대방을 농락하고 털어먹는데 특화되어있다. 그러나 이지스 방패나 본체 내구도나 꽤나 무른 편이라서 500m 내에서 1대1은 상당히 불리해지며, 저격 포지션을 잡아도 상대가 실드 브레이커를 달고 오면 금새 사출되기 마련이라 그냥저냥 쓸만한 편에 불과하다. 특히 저격 기체는 베히모스가 엄청난 버프를 먹고 드론과 모듈을 이용해 에레버스보다 더 뛰어난 활약을 수행하는게 가능한지라 더더욱 상위권에서 에레버스를 사용하긴 조금 까다롭다.

여담으로 기체가 등장하고 1년이 가까이 지나는데도 전혀 한정 외형 소식이 없다. 성능이 아주 좋은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인기가 없는것도 아니며 같이 추가되고 같이 쓰라고 만든 프리즈마는 굉장히 멋있는 한정 외형을 뒤늦게나마 받았는데 의문.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에레버스 신규.jpg
공식 일러스트
파일:에레버스 일러스트.jpg

[워크샵] [암시장] [30] 다만 미사일이 거의 근접하여 궤도가 아래로 향하고 있을 때 순간이동을 한다면 미사일은 그대로 땅에 꽂힌다.[31] 티폰, 케르베로스의 실드량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32] 서프레션, 록다운은 안티 컨트롤에 막히며 도트 데미지는 덤에 가까운데 EMP는 전파 호크가 아니라면 어느 기체도 저항할 수 없기 때문에 굉장히 유용하다.[33] 블랙아웃 프리즈마 둘다 사거리를 800m로 제한한다면 프리즈마에게 심한 너프를 먹이는 것이고, 반대로 둘다 1100m로 늘린다면 EMP를 보이지도 않는 거리에서 14초마다 쏴대는 미친 로봇이 재탄생하므로 어쩔 수 없는 사안이긴 하다.[34] 상대 유도 기관총도 에레버스를 노릴 수 있다는 뜻이며, 멀리 안가도 최소한 600m 사거리 안에 적이 오기만 하면 냅다 나는 실브 유도 하피 사이렌들이 즐비한다.



2.2.12. Angler(앵글러)[편집]


Angler
앵글러
파일:앵글러.png
"강력하고 재빠른 Angler는 적의 무리에 뛰어들어 굳건히 위치를 사수할 수 있는 물리적 방패와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Electric Shift(일렉트릭 시프트해금 레벨-
무기 슬롯중무기x1 경무기x3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전용 컨텐츠[전용]
특별 상자[암시장]
추천 장비1x Talon + 3x Claw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물리 방패.png
방패 내구도
파일:WR 능력 대미지.png
능력 대미지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139,38039km/h90,5001,158--
2147,43040km/h96,5001,28710만 실버2시간
341km/h1,43020만 실버5시간
4143,60042km/h138,1591,58840만 실버14시간
5151,90043km/h147,6051,764200만 실버1일 4시간
6160,80044km/h157,6981,960400만 실버2일 18시간
7170,10045km/h168,4802,178600만 실버4일 18시간
8180,00046km/h180,0002,4201,100만 실버5일 4시간
9191,00047km/h191,5202,638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202,70048km/h203,7772,8753,600만 실버6일
11215,00049km/h216,8183,1335,200만 실버6일 4시간
12228,00050km/h230,6943,415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228,00050km/h
최대 MK2
234,8463,415500 골드-
MK2 2232,300234,8463,483250만 실버12시간
MK2 3236,700239,0723,552500만 실버1일
MK2 4241,200243,3753,623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245,700247,7553,6952,250만 실버2일
MK2 6250,400252,2153,7692,250만 실버2일
MK2 7255,200256,7543,8452,250만 실버2일
MK2 8257,500261,3763,8822,250만 실버2일
MK2 9260,300266,0803,9202,250만 실버2일
MK2 10263,200270,8693,9602,250만 실버2일
MK2 11266,000275,7443,9992,250만 실버2일
MK2 12268,4004,0392,250만 실버2일
MK3 1281,90050km/h234,7004,2413 업그레이드 토큰-


Angler 🎣 Robot Overview — War Robots

스킬 - Electric Shift(일렉트릭 시프트
파일:앵글러 스킬.png"활성화되면 로봇 주변에 범위 내 적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전기 소용돌이를 형성합니다. 로봇은 속도를 올리고 PHASESHIFT에 진입합니다. 능력이 끝날 때, 반경 내 모든 적들에게는 BLIND 효과가 적용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5초
쿨다운14초
방패 내구도90,500 ~ 234,700
이속 증가30%
파일:WR 범위 피해.png 범위 피해
피해1,158 ~ 4,241
유효반경50m
파일:페이즈 시프트.png Phase Shift
활성화되면, 로봇은 일시적으로 모든 피해와 부정적인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피해를 주거나 아군을 수리할 수 없습니다. 능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적 포탄은 로봇을 통과합니다.
파일:WR블라인드.png Blind
적의 눈을 멀게 합니다.
스킬을 사용하면, 기체가 페이즈 시프트 상태에 들어가 이속이 증가하고, 반경 50m의 소용돌이를 두른다. 소용돌이 내부에 머무르면 지속 피해를 입는다. 지속시간 동안 범위 피해의 총 피해량은 표기 피해량의 x5이다.

페이즈 시프트 상태의 앵글러는 매우 빠른 이속을 자랑한다. 기존의 빠르기로 유명한 공모드 스키로스나 스킬을 쓴 마르스는 거뜬히 따라잡으며, 웬만한 비행 기체도 따라간다.

스킬의 지속시간이 끝나고 페이즈 시프트가 종료될 때 소용돌이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군에게 블라인드 디버프를 부여한다.

페이즈 시프트를 사용하는 Yan-di 기체 특유의 붉은 실루엣이 아닌 능동 모듈을 통해 발동하는 푸른 실루엣이 적용된다.

EvoLife 소속 4티어 중형기 기체.
'Angler'는 영어로 낚시꾼, 또는 심해어 아귀(Anglerfish)를 의미한다.[35]

8.5.0 버전 업데이트로 350m 근접 로켓 발사기 Talon, Jaw, Claw와 함께 정식 출시하였다.
Yan-di 소속이 아닌 기체들 중 페이즈 시프트를 능력으로 가지고 온 기체로는 최초. 라바나, 인드라, 샤랑가는 붉은 실루엣 모습으로 전환시키는데, 앵글러는 평범한 푸른 실루엣인 것으로 보아 붉은 모습은 얀디 계열의 고유 특징인듯 하다.

스킬을 사용하면 페이즈 시프트 상태에 돌입하고 50m 지속 피해 범위기를 두른다. 5초 뒤에 50m 내에 머무르는 적이 있으면 해당 적에게 5초 간 블라인드 디버프를 부여한다. 스킬을 사용하자마자 페이즈 시프트에 돌입하기 때문에 스킬을 발동한 앵글러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 그러니 앵글러가 스킬을 사용하여 내게 질주해올때 자신이 앵글러보다 느리면 그냥 맞으며 버티는 수밖에 없으며, 이동기 스킬을 보유하고 있다면 스킬을 소비하여 위험 지역을 벗어나야만 한다.

스킬이 상당히 좋은데 먼저 쿨타임이 짧은 편이다. 만약 폭풍 범위 내에 들어가 블라인드에 걸리면 5초라는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블라인드가 풀린 뒤엔 다음 스킬까지 반격할 시간이 겨우 5초 남짓이며, 그 사이에 어떻게든 딜을 우겨넣으려 해도 앵글러 또한 드론이나 모듈 등을 이용한 보조 방어기를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1vs1 상황에선 인드라를 이은 최강으로 여겨진다.

해당 기체는 1레벨에 내구성이 약 14만이 될만큼 튼튼한 기체인데 물리 방패까지 가지고 있다. 기본 화력또한 중1경3으로 준수하다. 힘싸움에 능해서 정면에서 덤비는건 불리하다.

만약 동일 기체 1vs1 상황일 경우 절대 스킬을 먼저 사용하면 안된다. 앵글러의 스킬 지속시간은 정확히 5초이기에 만약 자신이 상대보다 1초 먼저 스킬을 사용하였더라면 스킬 데미지는 데미지대로 안들어가고, 결국 본인만 블라인드에 걸리는 참상만 만들어낸다. 즉, 앵글러 미러전일 경우 본인이 패트론 드론을 가지고 있는게 아닌 이상 스킬을 먼저 쓰는 순간 그대로 승패가 결정된거나 다름 없다. 미러전에서 끝장을 보려면 오직 화력전으로 가야한다.

전성기 앵글러의 사기성에 블라인드 면역 드론 패트론이 조명받고 있다. 패트론은 출시 당시엔 블라인드에 걸린 상태일때 스텔스 기능을 부여해주는건데, 근본적인 효과는 막지 못하기 때문에 조금 찬밥 신세였다. 그러나 앵글러의 등장으로, 블라인드에 당할 시 5초간 뚜따 맞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패트론이 있으면 자신도 5초간 앵글러의 피해로부터 살아남아 반격이나 도망 기회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입지가 높아졌다. 블라인드를 아예 면역시켜주는건 모선의 4티어 보호 포탑이 있으나, 모선은 기본적으로 게이지를 채우는데 오래 걸리기 때문에 즉각적인 사용은 힘들어 발동 조건이 간단한 패트론의 일자리가 늘어난 것. 드론 오버홀 이후 패트론은 블라인드 면역이 추가되어 능력이 아예 앵글러의 카운터로 바뀌었다.

못생긴 외형으로 인해 혹평받고 있다. 7.8.0 버전 케프리 출시때부터 꾸준히 비판받던 부분으로, 케프리 이후 출시한 기체들 중 외형상으로 호평을 받은 기체는 헤임달, 세라프가 있으나 타이탄이라는 상징성이 있는 헤임달과 달리 세라프는 디자인 자체의 평가는 좋은 편이지만 워 로봇과 어울리지 않는 디자인이라는 혹평이 있으며 케프리, 스키로스, 인드라는 호불호가 갈린다. 거기에 더해 이번에 내놓은 기체는 무슨 포켓몬을 닮은 것같은 괴이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파일:앵글러 실드 박살.jpg
물리 방패가 벗겨진 모습
전체적인 모티브는 심해 잠수정으로 보인다. 모습을 숨겼다가 코앞에 나타나서 적군을 잡아먹는 심해의 아귀같은 능력, 심해 탐사정을 연상시키는 외형에서 추측할 수 있다. 위 사진의 방패가 떨어진 모습을 보면 영락없는 탐사정이다.

여담으로 테스트 서버 사양의 앵글러는 블라인드 효과가 적에게 적용되지 않는다. 출시 이전 베타때부터 이러하였는데 이유는 불명.

전멸에서도 엄청난 사기성을 지녔다. 스킬의 높은 범위 딜과 무적, 그리고 특유의 튼튼한 내구성과 수준급의 기동성까지 지녀서 타이탄 못지 않게 적들을 학살할 수 있다.

세라프 첫 출시처럼 떠오르는 별 타이틀을 달고 300 코인 전설 상자에 추가되었다.

이상하게 특별 코인 상자에 상품을 풀지 않았다. 기본 앵글러는 전설 상자 품목에 한 버전 등장하고 이후론 전혀 팔지 않았다. 8.6.0 버전엔 아예 구할 방법이 없었으며, 8.7.0 버전에는 동코인에 한정판 크루엘 앵글러 하나만 구할 수 있다. 같이 추가된 무기인 산화 로켓이 계속 상품으로 올라와있던걸 생각하면 의문. 8.8.8 버전에서야 구할 수 있었다.

8.7.0 버전에 드디어 너프가 되었다. 방패 내구도를 소폭 감소시키고 도대체 뭔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스킬 피해량을 반토막 시켰다. 확실히 이제는 앵글러의 스킬 딜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특유의 높은 방어력과 블라인드의 사기성은 여전.

8.8.8 버전에서 드론 시스템이 개편되면서 간접적으로 너프를 받았다. 마이크로칩이 삭제되었기에 더이상 이전과 같은 안전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적들에게 몇 초만 노출되어도 터져나가는걸 확인할수 있다.[36] 현재는 모듈은 페이즈 시프트를 이용하며 드론은 비크를 사용하는게 정석 세팅이다.

가끔 페이즈 시프트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피격 및 비컨 점유는 불가능하나 공격은 가능한 버그가 발생한다. 동일한 페이즈 시프트 기체인 인드라에게도 가끔 일어나는 현상.#[37] 현재는 고쳐진 것으로 보인다.

9.0.0 버전에 스킬 이속이 크게 감소하는 너프를 받았다. 때문에 너프 전에 적을 집요하게 추격하던건 힘들어졌다. 포탑 사출한 마르스도 못 따라잡을 정도. 물론 본 성능은 유효해서 네더처럼 일정 구역에 돌진하는 공격 능력이 떨어지게 된거지 중앙 비컨 난전이나 수호할 때엔 여전한 성능을 보여준다.

해당 버전 너프에서 지속시간과 쿨다운 너프가 패치노트에 기재되었는데 어찌된 이유인지 그 다음 버전인 9.1 버전이 돼서야 적용되었다. 다만 여전히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기에 사용에 큰 문제가 없을 뿐더러 너프 이후 어째서인지 스킬이 끝나도 1초간 페이즈 시프트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때는 페이즈 시프트라서 데미지 및 디버프에 면역인 주제에 무장이 다시 활성화 되어서 1초 동안 일방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었다.[38] 현재는 고쳐진 버그.

9.2.0 버전에 다시 너프를 받았다. 쿨다운이 2초 더 늘었으며 방패 또한 내구도 너프로 이제 본체 내구도보다 수치가 줄어들었다. 이속은 전 레벨에 2km/h씩 줄었다. 과거의 패왕같은 위세는 이미 사라져 없는것이나 마찬가지. 추격 능력이 심히 떨어졌으며, 블라인드의 가치는 아직은 여전하기에 기체 운용 전략이 오는걸 받아치는 수동적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9.4.0 버전 업데이트로 성능에 쐐기를 받았다. 기본 내구도는 증가했지만 속도가 다소 감소하였고 스킬 추가 이속이 30%로 떨어져 사실상 상시 뚜벅이가 되었다. 도망치는 상대를 끝까지 쫓아가는 심해의 괴수같던 시절은 과거의 영광이고, 매우 수동적이게 되었다.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앵글러 신규.jpg
파일:앵글러 신규 2.jpg
8.5.0 버전 전투 대기 배너
파일:WR 8.5 대기.jpg
공식 일러스트
파일:앵글러 일러스트.jpg
한정판 외형 공개
Cruel Angler
파일:앵글러 한정판.png

[전용] 상점에서 구매 불가[암시장] [35] 공식 페이스북의 소개문의 "Angler, the Depth Hunter"(깊은 곳의 사냥꾼)이라는 인용문과 숨었다가 적을 급습하면 능력을 생각하면 해당 기체의 정확한 명칭과 유래는 아귀가 맞을 것이다.[36] 덕분에 이전처럼 업소버와 힐방포로 버티는게 사실상 불가능 해졌다. 업소버로 버티는건 Nebula를 쓰면 어떻게 가능은 하나, 업소버의 발동 조건이 3초 안에 150,000 데미지를 입어야 하는 것이며, Nebula에는 힐방포가 없다.[37] 해당 인드라 영상은 더 심각한게 비컨 점유까지 된다.[38] 그래서 당시엔 원래 쿨다운이 12초인데 1초 버그로 인해 실질 쿨다운이 11초로 표기되었다.[39] 다만, 스킬의 대미지로 처치를 하면 초기화 되지 않는다. 이때 고유 능력도 쿨다운에 들어가는지는 불명.[40] 근접 타이탄이라면 십중팔구 바즈라 샷건이나 음파, 혹은 빙결 로켓을 끼고 있을게 뻔한데, 앵글러 특유의 가까이서 비비는 전술은 오히려 역풍에 휩싸이기 아주 쉽다. 기본적으로 미노스, 인드라는 앵글러의 전기 폭풍을 쉽게 벗어나거나 방어할 방어기, 이동기, 무적기가 있으며 루차도르와 룩은 이동기가 아깝긴 하지만 확실하게 벗어날 수 있는 이동 수단이 있다. 특히 룩은 캐슬링 덕분에 빠르게 도망갈수 있을 뿐더러 굳이 도망 안가고 여유롭게 공중전에 돌입하거나 공중에서 대기하다가 스킬 끝나는 순간 돌진해올 수도 있다. 그나마 둘의 이동기의 쿨이 길고 기본적으로 느려 앵글러의 스킬을 잘 맞는 편이긴 하나, 블라인드에 걸려도 자체적으로 방어능력이 깡패인 두 타이탄은 그리 호락호락하게 당해주지 않는다.[41] 같이 추가된 크루엘 클로와 크루엘 탈론은 기존의 크루엘 베인과 비슷한 스타일의 디자인이다.[미적용] A B 패치노트 기재 사항. 본 서버엔 적용되지 않았다.



2.2.13. Dagon(다곤)[편집]


Dagon
다곤
파일:다곤 로봇.png
"빠르게 공격하는 로봇입니다. 개조된 Aegis 에너지 방패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중형기.png

중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hield Surge(실드 서지해금 레벨-
무기 슬롯경무기x6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전용 콘텐츠[전용]
보라색 데이터 패드[데이터]
추천 장비3x Trickster + 3x Tamer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에너지 방패.png
에너지 실드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84,00045km/h30,000--
2km/h10만 실버2시간
3km/h20만 실버5시간
4km/h40만 실버14시간
5km/h200만 실버1일 4시간
6km/h400만 실버2일 18시간
7km/h600만 실버4일 18시간
8km/h1,100만 실버5일 4시간
9km/h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km/h3,600만 실버6일
11km/h5,200만 실버6일 4시간
1260km/h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60km/h
최대 MK2
500 골드-
MK2 2250만 실버12시간
MK2 3500만 실버1일
MK2 4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2,250만 실버2일
MK2 62,250만 실버2일
MK2 72,250만 실버2일
MK2 82,250만 실버2일
MK2 92,250만 실버2일
MK2 102,250만 실버2일
MK2 112,250만 실버2일
MK2 122,250만 실버2일
MK3 1200,30060km/h75,0003 업그레이드 토큰-


NEW ROBOT: Dagon 🐙 Robot Overview — War Robots

스킬 - Shield Surge(실드 서지
파일:다곤 스킬.png"로봇의 이동 속도와 Aegis 방패의 재생 속도가 대폭 증가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10초
쿨다운10초
이속 증가
파일:WR이지스.png Aegis
어떠한 유형의 무기도 뚫을 수 없는 특수한 에너지 방패입니다. 개조된 버전은 더욱 매끈한 모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방패 내구도30,000 ~ 75,000
방패 재생
방패 임계치
스킬을 활성하면 이속이 증가하고 이지스 방패의 재생량이 크게 증가한다. 일정 수준의 공격이 아니면 도저히 방패를 벗겨낼 수 없을 정도로 튼튼해져 1vs1 힘싸움에 큰 도움이 된다.[42] 방패 지속시간과 쿨다운이 각각 10초라 생존에도 좋다.

이지스 방패는 티폰, 스키로스, 마르스에 이은 개선버전의 이지스다. 방패 폭이 좁은 대신 그만큼 밀도가 높아 범위 피해형 공격을 무시하고 재생 속도가 빠르다.

EvoLife 소속 4티어 중형기 기체.
'Dagon'은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수생신 다곤을 의미한다.

9.5.0 버전 업데이트로 경무기 트릭스터, 테이머와 일반무기 디시버, 댐퍼와 함께 정식 출시하였다.

전후무후한 무기 슬롯 6개의 기체. 모든 기체를 통틀어 4개를 넘어선 무기 슬롯을 보유한 기체는 없었다. 경무기 6슬롯은 이론상 중무기 3슬롯에 버금가는 화력이다. 스피어가 너프를 당한게 천만의 다행이다 지금이야 경무기 6개로만 이루어져 있다지만, 중무기 4개 화력 자체가 상징으로 여겨지던 베히모스의 상위호환인 크라이시스의 출시 사례를 보면 이후에 일반무기나 중무기를 포함한 무기 슬롯 5개 이상의 기체가 나올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

외형은 문어 촉수 6개 달린 호버 기체다. 원전 신화의 다곤이 반인반어로 묘사되며 창작에선 흔히 문어 촉수까지 달린 어인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그런듯하다. 촉수 밑에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의 형태를 보면 추진기가 아니라 자기장을 이용해 공중에 뜨는 듯.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다곤 신규.jpg
9.5.0 버전 전투 대기 배너
공식 일러스트
파일:WR 9.5 전투 대기 배너.jpg

[전용] 상점에서 구매 불가[데이터] 데이터 패드 배송[42] 그말인 즉슨 자체적으로 에너지 방패를 무시하는 작살총엔 영 힘을 못 쓴다. 자체 내구도는 평범하기 때문.



2.3. 대형기[편집]



2.3.1. Raijin(라이진/뇌신)[편집]


Raijin
라이진
파일:라이진 로봇.png
"걸어다니는 요새인 Raijin은 배치 전투와 중무장 무기의 기계식 화신입니다. 적과의 장거리 총격전에 있어서 탁월한 성능을 보입니다."
기체 크기파일:대형기.png

대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Bastion Mode(바스티온 모드해금 레벨17레벨
무기 슬롯중무기x2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1 능동x1획득 방법2,500 골드[상점]
추천 무기2x Trident / 2x Dragoon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물리 방패.png
물리 실드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127,00031km/h206,4482500 골드-
2135,00032km/h219,6482만 실버10분
3144,00033km/h233,6884만 실버1시간
4153,00033km/h248,6168만 실버2시간
5163,00034km/h264,50440만 실버8시간
6173,00034km/h281,40080만 실버12시간
7184,00035km/h299,376160만 실버1일
8196,00035km/h318,504300만 실버1일 8시간
9208,00036km/h338,856600만 실버1일 16시간
10221,00037km/h360,5041,000만 실버1일 20시간
11235,00038km/h383,5201,600만 실버2일 4시간
12250,00039km/h408,0002,600만 실버2일 12시간
MK2 1250,00039km/h
최대 MK2
408,000500 골드-
MK2 2254,600415,44050만 실버2시간 30분
MK2 3259,200422,880100만 실버5시간
MK2 4263,800430,320200만 실버10시간
MK2 5268,400437,760750만 실버15시간
MK2 6273,000445,200750만 실버15시간
MK2 7277,600452,640750만 실버15시간
MK2 8282,200460,080750만 실버15시간
MK2 9286,800467,520750만 실버15시간
MK2 10291,400474,960750만 실버15시간
MK2 11296,000482,400750만 실버15시간
MK2 12300,600489,840750만 실버15시간
MK3 1315,63039km/h514,3323 업그레이드 토큰-


War Robots: Fujin & Raijin

Gameplay: Raijin

스킬 - Bastion Mode(바스티온 모드
파일:라이진 스킬.png"로봇은 2개의 내장된 물리적 방패를 활성화하면 이동 능력을 상실합니다. 정지 모드에서는 공격 피해를 40% 늘릴 수 있습니다."

스킬 상세
전환시간3초
방패 내구도206,448 ~ 514,332
피해 증가40%
스킬을 사용하면, 즉시 이동을 멈추고 위를 향해있던 내장 방패가 전면으로 전개되며, 이동 능력을 상실한다.

라이진의 상징인 물리 방패의 표기 내구도는 방패 두 장의 내구도를 합한 값이다. 즉 방패 한 장의 내구도는 최대 25만 정도.

3.1.0 업데이트로 정지 모드로 전환하면 추가 피해가 적용된다. 이론상 중무장 3개에 준하는 화력을 갖게 되었다.

EvoLife 소속 2티어 대형기 기체.
'Raijin'은 일본 민간신앙 풍신뇌신도의 요괴 라이진을 의미한다.

1.4.0 버전 업데이트로 푸진과 함께 정식 출시하였으며, 푸진과 함께 게임 최초의 4족형 로봇이다.

이름 Raijin은 뇌신을 일본어 독음대로 표기한 것이다. 영어권에선 그대로 라이진이라 부르지만, 한자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에선 그대로 뇌신이라 불러도 된다.

내구도는 기본적으로 튼튼한 대형기 중에서도 독보적인 내구도로, MK3 1 기준 30만에 달하며, 방패 체력은 장당 25만에 육박한다. 물론 현재는 4티어 기체들 중 인베이더, 베히모스 기타 등등 내구도 만으로 훨씬 더 튼튼한 기체가 나온지 오래지만, 현 상황에서도 30만 수치는 단순 장식이 아니다.

몸체가 너무나 큰 것인지, 몸체에 비해 방패가 작은 것인지 음파 샷건같은 퍼지는 방식의 공격에 맞으면 방패가 완전히 막아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기체 공개 당시엔 살짝 밸런스 붕괴가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지만 느린 이속과 애매한 특수능력, 카니지와 같은 화력으로 의외로 애매한 성능을 갖게 되었다. 타란 풍신, 히드라 풍신 등 등장부터 좋은 평가를 받은 풍신과는 대조적.

업그레이드에 따라 상당한 비컨 수호 능력을 보여주지만, 물리 방패 기체 특성상 소모품인 방패가 파괴되면 능력이 급격하게 하락하며, 전면 방패가 두 장이기 때문에 방패 한 쪽만 부서지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한다. 랜슬롯과 비슷한 단점을 가진 셈. 또한 움직임이 제한되며 물리 방패를 사용하는 특성상 폭발 무기에 매우 취약하다.[43]

3.0.0 업데이트로 출시된 신규 모드 '비컨 러쉬'에서 막강한 위력을 발휘한다. 점령된 아군 비컨에 바로 스폰이 가능해 라이진의 느린 기동성을 극복하고 철옹성같은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이진의 방패에는 한자로 雷神이 적혀있으며, 그려진 원형 고리에 달린 여러 북들은 뇌신이 천둥 번개를 다룰때 사용하는 물건이다. 일본 창작물에 자주 나오는, 번개를 다루는 캐릭터의 장식이나 무기로, 두들기면 천둥번개를 일으키는 북으로 낯익을 것이다.

이상하게 한때 지형지물이나 중력에 영향이 덜한지 완만한 각도의 벽을 넘거나 아예 등산을 하기도 했다. # 같이 출시했던 푸진은 이런 능력이 없어 오직 라이진만 가능하였으며, 추후에 출시된 4족 기체 웨이랜드도 이러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현재는 패치가 적용되어 불가능하다.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장점-
-단점-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로봇 공개
파일:푸진 라이진 신규.jpg
공식 일러스트
파일:라이진 일러스트.jpg

[상점] [43] 화력을 절반 포기하고 앤실을 사용하면 극복 가능하긴 하다.



2.3.2. Jaeger(예거)[편집]


Jaeger
예거
파일:예거 로봇.png
"강력한 장거리 총과 Aegis 방패로 보호되는 4족형 사냥꾼 로봇. Jaeger는 모드 변경을 통해 위치 변경을 위한 속도와 총격전 중 화력 증대 및 보호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대형기.png

대형기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Sniper Mode(스나이퍼 모드해금 레벨19레벨
무기 슬롯중무기x2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수동x3 능동x1획득 방법10,000 조각[워크샵]
추천 장비2x Dragoon / 2x Gauss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레벨.png
레벨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능력 대미지.png
능력 대미지
파일:WR 실버.png
업그레이드
파일:WR 시간.png
시간
184,20047km/h10,8801만 조각-
289,20049km/h11,96010만 실버2시간
394,60051km/h13,15020만 실버5시간
4100,30052km/h14,45040만 실버14시간
5106,30053km/h15,880200만 실버1일 4시간
6112,70054km/h17,460400만 실버2일 18시간
7119,50055km/h19,190600만 실버4일 18시간
8126,70056km/h21,0901,100만 실버5일 4시간
9134,30057km/h23,1801,700만 실버5일 20시간
10142,40058km/h25,4803,600만 실버6일
11150,90059km/h28,0005,200만 실버6일 4시간
12160,00060km/h30,7707,000만 실버6일 12시간
MK2 1160,00060km/h
최대 MK2
30,770500 골드-
MK2 2162,91031,380250만 실버12시간
MK2 3165,82032,300500만 실버1일
MK2 4168,73032,9201000만 실버1일 16시간
MK2 5171,64033,5302,250만 실버2일
MK2 6174,54534,1502,250만 실버2일
MK2 7177,45535,0702,250만 실버2일
MK2 8180,36535,3802,250만 실버2일
MK2 9183,27035,6902,250만 실버2일
MK2 10186,18036,3002,250만 실버2일
MK2 11189,09036,6102,250만 실버2일
MK2 12192,00036,9202,250만 실버2일
MK3 1201,60060km/h38,7663 업그레이드 토큰-


War Robots: JAEGER, Ultimate Sniper 🎯 | NEW ROBOT Overview (Evolife Bloom)

스킬 - Sniper Mode(스나이퍼 모드
파일:스나이퍼 모드.png"로봇에는 속도가 증가하는 정찰 모드와 속도가 늦춰지고 내장형 동적 총과 Aegis 방패를 활성화하는 공격 모드의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내장형 총은 수동으로 제어됩니다."

스킬 상세
전환시간1초
파일:예거 정찰 모드.png 정찰 모드
활성 무기 슬롯중무기x2
파일:스나이퍼 모드.png 공격 모드
활성 무기 슬롯중무기x2 내장형 무기x1
이속 저하-20%
파일:WR이지스.png Aegis
어떤 유형의 무기도 뚫을 수 없는 특수 에너지 방패. 방패는 두 모드 모두에서 재충전됩니다.
방패 내구도45,700 ~ 112,770
방패 재생1,070 ~ 3,848
방패 임계치9,140 ~ 22,554
파일:WR 내장형 무기.png 내장형 무기
피해10,880 ~ 38,766
사정거리1,100m
재장전 시간9초

정찰 모드에선 실질적인 능력이 없으므로 빠르게 자리를 잡아야 한다. 의외로 거대한 대형기 치고 은근히 빠른 속도를 자랑하기에 거리 조절과 위치 선점, 도주에 불리한 면은 없다.

공격 모드로 전환 시 상부에 수납되었던 내장무기와 이지스 방패를 활성화한다. 내장 무기는 수동 제어 방식이라 중무기 슬롯 다루듯 같이 쏴주면 된다.

이지스 방패는 모드 상관 없이 재충전되지만, 활성은 공격 모드일때만 활성된다.

8.0.0 버전 이전에는 모드 전환 시 풍신과 뇌신처럼 즉시 이동을 멈추고 모드를 변경하는 방식이라 좀 불편한 감이 있었는데 이후 패치로 사라졌다.

EvoLife 소속 4티어 대형기 기체.
'Jaeger'는 독일어로 사냥꾼을 의미한다.

6.3.0 버전 업데이트에 추가된 기체. 2020년 8월 21일 테스트 서버에서 선행 공개하였다.
라이진의 완벽한 상위호환이라 장거리전 저격싸움에 매우 강력하며, 강한 편은 아니지만 이지스 실드를 이용해 자신이나 아군을 보호하는 용도로 쓰는 등 다방면에서 사용이 가능한 기체다.

외형은 전반적으론 기존의 웨이랜드와 비슷하지만 외갑은 물컹해 보이는 웨이랜드와 달리 매우 단단해보인다. 다만 몸집 큰 대형기임에도 체력이 높은 편은 아니다. MK3 1 기준 20만으로 중형기 평균치에 살짝 못미친다. 스킬의 이지스 실드가 있어 아주 물렁하진 않지만 이 이지스도 풀강 내구도가 10만을 겨우 넘는다.

모드 두개를 바꿔가며 운용해야하는 기체로, 그 덕에 정찰 모드의 이동 속도는 상술하였듯 대형기치고 굉장히 빠른 편이다.[44] 기본 이속도 그래서 한 곳에만 알박혀 있지 않고 능동적으로 자리를 바꿔가며 딜 서포트를 넣어주는 전략도 가능하다.

내장 무기와 더불어 함께 나온 가우스를 채용할 경우 나쁘지 않은 성능을 보여주며 특히 리치나 파일럿 사양 블리츠 등 방어력 기반 기체를 압박하며 다니는 게 가능하다. 공격 모드에선 속도가 느리지만 이지스도 내장되어 있기에 생존성은 높은 편.

내장 무기가 1렙일 때도 딜이 1만을 넘어가며, 이지스 용량도 1렙 기준 4만 5천가량 주어진다. 특히 전용 파일럿이 내장무기에 방어 무시를 적용시켜주니 나름대로 유용하다. 결과적으론 평가가 여타 저격형 기체 중 좋은 편에 속하… 지만 앞서 출시된 호크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묻힌 감이 없잖아 있다.

그래도 이러한 성능 덕에 최소한 예거 추가 당시엔 저격 기체 중에서는 나름 최상위급 기체였다.

버그가 있다. 가끔이 아니라 자주 다리가 아래로 펴진 상태로 땅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데, 점프 모듈을 써도 다시 착지하면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다.[45] 다양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도 고쳐지지 않고 있다고. 또한 높은 곳에서 저격하다가 이동 도중에 추락하다가 턱에 몸체가 낑기는 경우가 있다. 다른 기체들도 이런 상황이 종종 있으며, 일반적으론 상체를 돌리면 빠지지만 예거같은 4족형 로봇은 몸체보다 다리가 더 길기 때문에 빠져나오기 힘든 편이다.

현재는 에레버스가 단순 화력면에서 예거보다 월등하고, 베히모스가 버프로 인해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하게 된 지금, 예거로써는 설 자리가 없는게 현실이다. 중무장 2개의 화력은 그닥 강한 편은 아니고, 내장 무기는 딜량은 그냥 저냥 준수한 수준일 뿐이며, 보통 같이 쓰는 무장인 가우스는 현재로썬 답이 없는 무장인데다 내장무기와 가우스 둘의 탄속도 맞지 않아 상대의 업소버가 그 사이에 켜져 둘중 하나는 안박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총체적 난국인 기체다. 예거 상향좀 라이진처럼 공격 모드에서 피해 증가 보너스를 제공하거나, 내장무기의 데미지 버프가 필요하다.

-추천 무기-

-전용 파일럿-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공식 일러스트
파일:예거 일러스트.jpg
한정판 외형 공개
Solid Jaeger
파일:예거 한정.jpg
기타 일러스트
파일:예거 티폰.jpg

[워크샵] [44] 스킬의 이속 보너스도 있긴 하지만 기본 스펙도 나름 빠른편인 케프리와 앵글러도 60km/h는 안된다.[45] 근처 점프 기체가 옆에서 점프해서 위로 띄워주면 다시 기동이 가능하지만 애초에 그런 애를 찾는 게 어렵다.



2.4. 타이탄[편집]



2.4.1. Nodens(노덴스)[편집]


Nodens
노덴스
파일:WR노덴스.png
"공중 지원 요새이자 EvoLife 공학의 걸작인 Nodens는 자신과 아군을 수리할 수 있습니다. 4 종류의 베타 무기에 의한 엄청난 화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적이 동시에 끼치는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기체 크기파일:타이탄logo.png
타이탄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Active Support(액티브 서포트해금 레벨25레벨
Disposal(디스포절
무기 슬롯베타x4기체 티어3티어
모듈 슬롯방어x2 공격x1 만능x1구매 방법1,000 플래티넘[상점]
추천 무기4x Cyclone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타이탄 레벨.png
레벨
파일:WR 타이탄 외갑.png
외갑
파일:WR 타이탄 코어.png
코어
파일:WR 타이탄 엔진.png
엔진
파일:WR 플래티넘.png
업그레이드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타이탄 방포.png
방어 포인트
파일:WR 타이탄 수리.png
수리 강도
파일:WR 추가 방어 완화.png
추가 방어 완화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WR 디스포절.png
능력 대미지
1398,3101%31km/h1,0001,000 플래티넘
21,16020 플래티넘
3406,72531.5km/h24 플래티넘
42126 플래티넘
5415,14028 플래티넘
630 플래티넘
732 플래티넘
834 플래티넘
936 플래티넘
1038 플래티넘
1140 플래티넘
1242 플래티넘
1344 플래티넘
1446 플래티넘
1548 플래티넘
1650 플래티넘
1752 플래티넘
182.4%54 플래티넘
1914%56 플래티넘
202.6%58 플래티넘
2160 플래티넘
2262 플래티넘
2364 플래티넘
2466 플래티넘
2568 플래티넘
2670 플래티넘
2772 플래티넘
2874 플래티넘
2976 플래티넘
3078 플래티넘
3180 플래티넘
3282 플래티넘
3384 플래티넘
3486 플래티넘
3588 플래티넘
3690 플래티넘
3792 플래티넘
3894 플래티넘
3996 플래티넘
4098 플래티넘
41100 플래티넘
42102 플래티넘
43104 플래티넘
44106 플래티넘
45108 플래티넘
46110 플래티넘
47112 플래티넘
48114 플래티넘
49545,7005%50km/h116 플래티넘
5016033%5,000118 플래티넘


War Robots NODENS | New Titan OVERVIEW (with Hank)

1스킬 - Active Support(액티브 서포트
파일:WR 액티브 서포트.png"타이탄이 아군과 링크하여 아군의 내구성을 점진적으로 수리합니다. 다수의 아군을 동시에 수리할 수 있고, 추가된 링크마다 타이탄의 방어 시스템의 파워가 증가됩니다. 활성화된 능력 하나당 Nodens 내구성의 1% 만큼을 수리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7초
쿨다운10초
대기시간3초
기본 유효거리600m
최대 유효거리700m
방어 포인트50
수리량1%/초 ~ 5%/초코어 업그레이드
최대 충전3회
리치의 Repulse와 같은 기술의 스킬. 사거리 내 아군을 최대 3대까지 지정하여 수리한다. 사거리 밖으로 벗어난 아군을 겨냥하거나 링크 중 아군이 범위를 벗어나면 자신만 수리한다.

표기 수리량은 낮아보이지만, 이는 초당 수리량을 나타낸 것으로 스킬 지속시간이 7초이기 때문에 실질 수리량은 그 7배다. 기존의 멘더, 웨이랜드 등의 힐러 기체는 고정된 수치만큼 힐을 제공하였으나, 노덴스는 체력에 기반해 퍼센트힐을 제공하기에 내구성이 높은 타이탄이나 인베이더같은 탱커에게 아주 유용하다.

아군에게 링크를 걸면 그 횟수만큼 노덴스 자신에게 50 방어 포인트를 부여한다. 링크를 걸지 못하면 스킬을 써도 본인 치유만 될 뿐이니 난전 상태라면 되도록 주변 아군이 풀피라도 링크를 꽂아주자.

2스킬 - Disposal(디스포절
파일:WR 디스포절.png"타이탄이 목표로 한 적뿐 아니라 능력 범위 내의 다른 적 로봇에게도 Suppression을 가합니다. 영향을 받은 로봇의 피해 출력이 50% 낮아집니다. 이 능력은 또한 영향을 받은 로봇에게 1000 피해를 가합니다."

스킬 상세
지속시간5초
쿨다운18초
유효거리600m
유효반경50m
피해량1,000 ~ 5,000엔진 업그레이드
파일:WR 서프레션.png Suppression
적이 주는 피해를 감소시킵니다. (50%)
사거리 내 적군과 주변 적군에게 서프레션 디버프를 부여한다. 투사체식 스킬이 아니라 범위 내 보이기만 하면 바로 적용 가능하여 상당히 우수한 스킬로, 밀집된 적군 전선에 디버프를 가해 한타를 유리하게 이끌어갈 수 있다. 다만 적용 수치는 좀 낮은 편.

조금 짤딜을 주긴하는데 만렙을 올려도 5천이라 정말 딸피인 적군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면 무의미하다.

EvoLife 소속 3티어 타이탄 기체.
이름의 유래는 크툴루 신화엘더 갓 중 하나인 '노덴스'다.[46]

타이탄 병종이 출시한 후 최초로 추가된 타이탄. 최초로 다리를 사용하지 않는 기체이다.[47] 측면부에 달린 추진기를 통해 부유하지만 비행까지 할 수는 없다.[48] 사실상 호버링 기체로, 소개문에선 공중 요새라고도 표현한다. 이상한 점이라면 용암이나 산성액으로 장판딜을 주는 팩토리 맵과 어비스 맵에선 분명 떠다니는데도 피해가 들어온다. 엄살

출시 당시엔, 획득을 위해선 6주년 기념 뉴 사이버 전시회 이벤트에서 30레벨 이상 유저만 열 수 있는 토큰 1000개짜리 상자를 열면 얻을 수 있었다. 확률 극악에 30레벨 이상의 유저만 얻을 수 있어서 노덴스만을 노리기엔 비추였지만, 대신 플래티넘을 최소 100개를 지급해주었다.[49]

철저히 서포트에 중점을 둔 타이탄으로, 전선의 뒤에서 전방 아군들을 수리하고 우리 아군이 맞닥뜨린 적군들에게 디버프를 먹여 보호해준다. 직접적인 방어 수단은 없지만 1스킬의 방어 포인트가 있고 타이탄 중에서도 내구성이 평균 이상이라 몸빵정도는 대줄 수 있다. 데스매치라면 탱커를 앞세우고 측면 내지 후방에서 치유 서포트와 딜 서포트를 해주면 되고, 비컨전에선 중앙 비컨 선점 싸움을 도와주면서 600m 장거리에서도 서포트가 가능한 노덴스는 측면 비컨을 보호한다. 몰래 측면을 치러 오는 일반 기체 한둘이라면 충분히 몰아낼 수 있다.

당연히 단점도 있는데, 1대n에서는 캐리력이 상당히 떨어진다. 주변에 아군이 없으면 1스킬의 방어력을 얻지 못하고, 2스킬이 있어봤자 타이탄은 레이드를 당해 죽는 일이 대다수니 약간 생존시간을 늘리는것 말고는 그렇게 쓸데가 없다. 물론 타이탄이 타이탄인지라 그리 쉽게 죽어주진 않지만, 노덴스는 n대n에서 유리한 타이탄이니 강력한 기체 하나를 잃게 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재미가 없다. 성능 자체는 나쁜건 아니지만 너무나 수동적이니 플레이밸류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탱킹에 크게 도움이 안되니 나서서 딜을 넣기는 애매하고, 기체 자체도 느리다보니 비컨이나 리스폰 지점 근처에서 힐만 쏴대끼고 있으면 하품이 나온다. 물론 노덴스를 충분히 좋아하고 재밌어하는 유저도 존재한다. 그러나 대다수는 이런 수동적인 플레이를 재미없어 한다는 것도 사실이다.

모선 시스템의 보급으로 상당히 가치가 떨어졌다. 이는 모든 힐러 기체의 공통분모이긴 하나, 높은 힐량말곤 현재로서는 별 볼게 없는게 노덴스라서, 차라리 회색 피해 치유나 업소버 제공 등의 다양한 유틸성을 가진 다른 힐러들이 채용되면 채용되었지 노덴스는 정말 찾아보기 힘든 기체가 되었다.

-추천 무기-

근거리
중거리

-장점-
-단점-
-총평-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6.0 버전 배너
공식 일러스트
파일:WR노덴스illust.jpg

[상점] 상점 구매[46] 다만 로봇 노덴스의 외양은 영락없는 문어 괴물인데 원본인 노덴스는 엘더 갓 중에서 가장 인간의 모습과 유사하다는걸 생각하면 아이러니하다.[47] 아예 없는건 아니고 사진에 보이는대로 문어 다리가 5개 달려있다. 다리가 아예 없는 최초의 기체는 디미터.[48] 테스트 서버 시절에는 제한적으로 비행이 가능했다. 후진만 안하면 현재 위치한 고도에서 떨어지지 않는 굉장히 독특한 방식이었다.[49] 즉, 일단 지르면 안 좋은게 없었다. 최소 보상이 플래티넘 100개라는 것도 확률이 안 좋은 상품 취급인데다 애초에 30레벨 유저만 개장할 수 있는 상자라 타이탄 관련 상품이 나올 가능성이 꽤 있었다. 그 무기중에는 큐레시어에 차르, 럽처, 젠담 등이 있으며 타이탄은 키드 빼고 다 있다. 다시 말해 상자를 살 의사가 있다면 나쁠 게 없는 상자다.



2.4.2. Heimdall(헤임달)[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War Robots 기체 시리즈
Ragnarok Squad
라그나로크 스쿼드
||
[ 펼치기 · 접기 ]

일반기체Fenrir · Tyr · Loki · Fafnir
타이탄Heimdall




Heimdall
헤임달
파일:헤임달 타이탄.png
"EvoLife에서 탄생시킨 이 다기능 타이탄은 Shapeshift 기술의 도움으로 두 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과 아군을 수리하는 기동형 수리 모드와 속도는 느리지만 뛰어난 방어력과 내장형 무기로 적을 파괴하고 아군이 입히는 피해를 증가시키는 걸어 다니는 요새 모드가 그것입니다. 타이탄이 파괴된 후에는 나노봇 탱크가 투하되어 범위 내 아군의 회색 피해를 수리합니다."
기체 크기파일:타이탄logo.png
타이탄
제조 기업파일:에보라이프.png
EvoLife
기체 능력Glorious Death(글로리어스 데스해금 레벨-
Shapeshift(셰이프시프트
Golden Horn(골든 혼
무기 슬롯베타x4기체 티어4티어
모듈 슬롯공격x1 방어x1 만능x2획득 방법전용 컨텐츠[전용]
특별 상자[암시장]
추천 장비4x Lantern

기체 업그레이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WR 타이탄 레벨.png
레벨
파일:WR 타이탄 외갑.png
외갑
파일:WR 타이탄 코어.png
코어
파일:WR 타이탄 엔진.png
엔진
파일:WR 플래티넘.png
업그레이드
파일:WR 내구도.png
내구력
파일:WR 타이탄 방포.png
방어 포인트
파일:헤임달 수리 모드.png
Shapeshift
수리 파워 증가
파일:WR 타이탄 수리.png
수리 가능한 내구성
파일:WR 속도.png
속도
파일:헤임달 골든 혼 공격.png
Golden Horn
추가 피해량
1377,740281,26510%35km/h13,049-
2301,32513,31620 플래티넘
3385,45111%35.5km/h24 플래티넘
4311,39113,58826 플래티넘
5393,32112%36km/h28 플래티넘
6321,45213,86530 플래티넘
7401,35113%36.5km/h32 플래티넘
8341,51814,14834 플래티넘
9409,54614%37km/h36 플래티넘
10351,57814,43738 플래티넘
11417,90615%37.5km/h40 플래티넘
12371,64414,73142 플래티넘
13426,43716%38km/h44 플래티넘
14391,70515,03346 플래티넘
15435,14317%38.5km/h48 플래티넘
16411,77115,33950 플래티넘
17444,02618%39km/h52 플래티넘
18431,83115,65254 플래티넘
19453,09019%39.5km/h56 플래티넘
20461,89715,97258 플래티넘
21462,34120%40km/h60 플래티넘
22491,95816,29762 플래티넘
23471,58621%40.5km/h64 플래티넘
24522,02416,63066 플래티넘
25481,01322%41km/h68 플래티넘
26552,08416,97070 플래티넘
27490,63323%41.5km/h72 플래티넘
28582,15017,31674 플래티넘
29500,44524%42km/h76 플래티넘
30612,21117,66978 플래티넘
31510,44925%42.5km/h80 플래티넘
32652,27718,02282 플래티넘
33520,65726%43km/h84 플래티넘
34692,33718,38386 플래티넘
35531,06927%43.5km/h88 플래티넘
36732,40318,75190 플래티넘
37541,68928%44km/h92 플래티넘
38782,46419,12694 플래티넘
39552,51929%44.5km/h96 플래티넘
40832,53019,50898 플래티넘
41563,56830%45km/h100 플래티넘
42882,59019,898102 플래티넘
43574,83831%45.5km/h104 플래티넘
44932,65620,296106 플래티넘
45586,33332%46km/h108 플래티넘
46982,71720,703110 플래티넘
47598,05933%46.5km/h112 플래티넘
481042,78321,116114 플래티넘
49610,01634%47km/h116 플래티넘
501102,84321,539118 플래티넘

* Shapeshift 기본 힐량, 내장 무기 공격력, 물리 방패 내구력은 업그레이드에 따라 늘어나지만 표기를 해주지 않아 인게임에선 정확한 수치는 확인 불가능. 이쪽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Heimdall 📯 Titan Overview

패시브 - Glorious Death(글로리어스 데스
파일:WR 타이탄 수리.png"Heimdall이 파괴된 후, 나노봇이 범위 내 아군의 회색 피해를 일정량 수리합니다."

스킬 상세
유효거리100m
회색 피해 수리10% ~ 34%코어 업그레이드
파괴된 후에 발동하는 특이한 패시브. 일정 거리 내 아군에게 회색 피해 일부를 수리하는 광역 수리 펄스를 발한다. 다만 헤임달 본인이 게임의 강력한 전력중 하나인 타이탄이므로 일부로 죽어주기도 뭣하고 범위도 넓진 않은데다 수치도 딱히 높은 편은 아니다. 그러니 이걸 활용한답시고 일부러 최전방에서 맞아대기보다는 싸우면서 자연스레 체력이 바닥이 보일때 아군곁에서 대신 총알을 맞아주자.

1스킬 - Shapeshift(셰이프시프트
파일:헤임달 수리 모드.png"타이탄이 두 가지 모드로 변환합니다. 수리 모드에서는 Heimdall의 이동속도가 증가하고 자신과 아군을 수리하는 나노봇 생성기를 활성화합니다. 공격 모드에서는 타이탄의 이동속도가 감소하지만 내장형 무기가 사거리 내의 적을 자동으로 공격합니다. Heimdall의 근처에 있는 아군은 주는 피해량에 약간의 보너스를 받습니다."

스킬 상세
전환시간1초
유효반경100m
파일:헤임달 수리 모드.png 수리 모드
이속 증가10%
지속 수리1,265/초 ~ 2,843/초
파일:헤임달 공격 모드.png 공격 모드
방패 내구도~
피해 증가10%
파일:WR 내장형 무기.png 내장형 무기
유효거리600m
발사 속도/초
피해
위 사진에서 금빛 뿔이 접혀 있고 후부의 푸른 나노봇 탱크가 활성화된 모습이 디폴트인 수리 모드다. 반경 100m의 수리 장판을 생성하여, 거리 내 아군 및 자신에게 수리 보너스와 이속 보너스를 제공한다.

수리 모드에서 공격모드로 변환 시 물리 방패를 전개하고 반경 100m의 공증 장판을 펼쳐 범위 내 아군과 자신에게 피해 보너스 10%를 제공한다.

스킬 전환 애니메이션이 상당히 정교하다. 공격 모드로 전환 시 전면부에 접혀있던 골든 혼이 전개되며 나노봇 탱크가 수납되고, 상부에서 내장무기가 튀어나오고, 하체 등 기타 외갑도 펜리르처럼 펼쳐지는 등 꽤 공을 들인 모션.

보통 여타 다른 물리방패는 정면은 거의 완벽하게 보호하지만 공대지 공격에는 취약하다. 반면 헤임달의 방패는 위로도 비중이 있기 때문에 무로메츠 등이 공중 폭격을 해도 방패가 터지기 직전엔 공격을 막아줄 수 있다. 단점이라면 그만큼 밑으로 향한 공격은 비교적 맞아줄 수 있다는 점과 헤임달이 하필이면 덩치가 큰 타이탄이란 것.(...)

공격 모드의 내장무기는 DoT 능력이 없는 바실리스크의 재탕이다. 에너지 탄의 생김새와 발사 소리, 사격을 멈추면 들리는 소리가 바실리스크와 빼박이다.

여담으로 수리 모드 영상에서, 헤임달 주변의 그리핀들은 한정 외형 'Scavenger Griffin'으로 예전 할로윈 때 미션을 클리어하면 줬었다. 8.1.0 버전의 배너에서 Scavenger Heimdall와 같이 나오기도 했다.

2스킬 - Golden Horn(골든 혼

파일:헤임달 골든 혼 수리.png"능력은 현재 모드에 따라 변경됩니다. 수리 모드에서는 Heimdall이 나노봇의 효과를 증폭하여 짧은 시간 동안 아군에 대한 내구도 수리량을 높이고 이동속도에 보너스를 제공합니다. 공격 모드에서는 Heimdall이 적중 시 Suppression 효과를 적용하는 로켓형 유탄 발사기로 적을 공격합니다."

스킬 상세
쿨다운10초
파일:헤임달 골든 혼 수리.png 수리 모드
지속시간5초
유효거리100m
수리
이속 증가20%
파일:헤임달 골든 혼 공격.png 공격 모드
유효거리600m
탄창 용량1발
피해13,049 ~ 21,539엔진 업그레이드
파일:WR 서프레션.png Suppression
적이 주는 피해를 감소시킵니다. (75%)
기본적으로 각 모드의 효과를 보조하는 스킬.

수리 모드의 골든 혼은 기존 능력을 강화시킨다. 기존의 힐장판 내 아군에게 제공하는 이속 버프와 수리 능력을 가증시킨다. 빠른 속도로 아군과 합류해야 할 때나 아군과 같이 진입할 때 유용하다.

공격 모드의 골든 혼은 서프레션을 부여하는 폭발성 로켓탄을 발사한다. 수리 모드의 골든 혼과 달리 단발성 능력이기 때문에 발사한 후 바로 수리 모드로 전환해도 능력의 손실이 없다.

난전 중에는 수리 모드보단 공격 모드의 골든 혼 스킬을 사용하는게 좋다. 수리 모드의 골든 혼은 이속 증가의 버프가 좋지만 100m 범위 내 제한인 점이 단점이고 수리는 기존 헤임달의 빈약한 수리 능력과 겹쳐서 그리 쓸만한게 못된다. 조금이라도 수리를 더 시켜서 아군을 지켜내겠다는 것보다는 서프레션 탄을 1발이라도 더 맞춰서 빨리 적을 족치는 편이 낫다.

EvoLife 소속 4티어 타이탄 기체.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아스가르드를 지키는 수문장 '헤임달'이다.

7.9.0 업데이트에 출시된 2번째 서포터 타이탄이다. 라그나로크 테마 최초의 타이탄.
추천 무장이 중거리 무장인 랜턴이 기재되어 있어 추천하는 포지션은 중거리 같지만, 보통 한타는 정중앙 쪽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당연히 아군은 거기에 몰려있고, 헤임달의 스킬 의도상 아군이 모여있는 쪽에 들어가있어야 하다보니 웬만하면 전방에 서야한다. 나름 단단한 물리 방패가 있긴 하지만, 내구도가 아서의 것만큼 단단한 편은 아니며 면적도 좁아 공격을 전부 막아주지도 않고, 이 외에 특별한 방어수단은 없으니 너무 설치진 말고 전투는 아서나 루차도르 타이탄에게 어그로를 몰아주면서 본인은 중앙 싸움에서 벽을 엄폐물로 삼으며 때에 따라 모드를 변경해주면서 딜도 톡톡히 넣어주며 충실히 서포트를 해주자. 엄연히 공격적인 면모가 부각되는 것이지 혼자 최전선에서 깽판치라고 만든 것은 아니다. 애초에 두부체력이라 앞에 크게 나서지도 못하지만 이속 버프가 상당히 쏠쏠하여 수리 모드인 경우에 타이탄 중 기본 이속이 미노스를 제외하고 가장 빠른 편이라 플레이는 나름 재밌다.

타이탄을 두 기 이상 제작한 기업들의 타이탄 기체들이 비슷한 포지션과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처럼,[50] 헤임달도 같은 기업의 노덴스와 공통점을 보인다.[51] 그러나 최전선에 서는 DSC 타이탄이나 뒤에서 화력을 퍼붓는 SpaceTech 타이탄과는 달리, 노덴스와 헤임달에게 서로 추천되는 포지션은 다르다.

장판힐과 물리 실드를 보면 같은 라그나로크 테마의 티르의 특징을 크게 따르고 있으며 이 외에도 많은 서포팅 기체들의 특징들을 골고루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특징들의 수치가 높은 편이 아니다보니 좋게 말하자면 밸런스가 잘 잡혀있어 탱킹이나 딜링이나 힐링이나 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하이브리드 기체지만, 나쁘게 말하자면 할줄 아는것만 많지 잘 하는건 없는 이도저도 못하는 잡탕 기체일 뿐이다. 출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버프를 진행하고 있지만 본래의 성능의 이상으로 도약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기본 외형은 타이탄들 중에서 가장 멋지다고 할만큼 화려한 외형을 자랑한다. 정말 북유럽 신화의 신을 연상시키는 신성하고 화려한 외형에, 한정판은 살짝 호불호가 갈리기 하지만 특유의 거칠고 두터워 보이는 외형을 더욱 선호하는 유저도 많은 편.[52]

성능 외적으론 기존의 타이탄중에서 크기가 조금 작은 편이다. 본래 타이탄이 들어가지 못하는 낮은 천장이 있는 장소를 헤임달은 기어들어갈 정도. 밸리 맵 중앙 비컨의 방이 대표적이다.

가장 마지막으로 특배 개편 이전에 상품화되었던 타이탄. 이후 신타이탄인 인드라 부터는 개편된 이후에 추가되었다. 이전의 무로메츠 특배가 그러하였듯 기체 획득이 상당히 쉬운 편이었다.

-추천 무기-
헤임달의 다재다능한 능력에 기반한 것처럼 근거리 무장이든 중거리 무장이든 잘 어울린다.

랜턴 + 바즈라 등 근중거리를 전부 커버하는 혼합 세팅도 간혹 나온다. 상황에 따라선 이도저도 아닐 수 있으나 올라운더 헤임달의 성능을 생각하면 그리 나쁜 편은 아니다.
근거리
중거리

-장점-
-단점-
-총평-

-한정판 외형-

-업데이트 로그-

갤러리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신규 타이탄 공개
파일:헤임달 신규.jpg
7.9.0 버전 배너
파일:WR 7.9.jpg
한정판 외형 공개
Scavenger Heimdall
파일:헤임달 한정판.jpg
파일:헤임달 한정판 컨셉아트.png
8.1.0 버전 전투 대기 배너
파일:WR 8.1 대기.png

[전용] 상점에서 구매 불가[암시장] [50] DSC의 키드, 아서, 루차도르는 내구도가 높고 강력한 방어수단이 존재하는 탱커 기체다. SpaceTech의 아오 밍, 무로메츠는 내구도가 낮은 대신 극화력형이고 기동력이 높은 비행 기체다.[51] 무기 슬롯이 똑같이 4베타고 힐과 디버프를 부여하는 우수한 서포팅 능력을 자랑하며, 소개문에서 요새형 기체라고 서술된다. 노덴스는 공중 요새, 헤임달은 지상 요새.[52] 원래 스캐빈저 시리즈 같은 매드맥스 풍 디자인이 호불호가 갈리기 쉽다는걸 생각하면 충분히 선방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53] 빠른 기동을 이용한 신속한 화력전이 주가 되는 현 메타에서 항상 옆에 붙어 있어야 하는 장판형 스킬은 문제가 너무나도 많다. 노덴스는 최대 600m 거리에 있는 최대 3명의 아군에게 엄청난 폭힐을 주고 시리우스 역시 장판형이긴 해도 포탑 방식이라 어느정도 사거리는 커버가 가능한 반면, 헤임달은 항상 주변 100m 안에 머물러 있어야 하며 힐량도 고정 수치라 효율이 떨어지는 편이다. 심지어 그 고정 수치는 전혀 높지도 않다.



3. 관련 문서[편집]



4. 둘러보기[편집]




파일:워로봇로고.p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2:57:43에 나무위키 War Robots/기체/EvoLif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